2018년도 환경 산업 사업별 줄고 늘고 희비 엇갈려

김영민 기자 / 2017-12-10 14:49:03
2018년도 환경부 재정지출 6조6356억원 최종 확정
위해우려 매립시설 처리, 보 구간별 수질 조사비용
생태계 복원 및 생태서비스 확충비용, 물산업 탄력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환경부 2018년 예산 증액은 처음부터 기대감 보다는 얼마만큼 감액되는지에 초점이 맞춰졌다.

 

내년도 환경부 확정된 총지출 내역을 보면, 베스트 7대 사업은 하수관로정비, 하수처리장 확충, 농어촌마을하수도정비, 노후상수도정비, 면단위하수처리장설치, 생태하천복원사업, 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 물산업클러스터 조성에 전체 총지출에 40%를 차지했다.

이같은 배경은 물통합관리일원화 사업이 본격 가동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눈길을 끄는 총지출 항목 하수처리수재이용사업, 지하수수질보전대책, 산업단지완충저류시설 설치, 위해우려매립시설오염확산방지안정화, 생태계 훼손지복원, 유해폐기물처리 및 대집행에 평균 15% 증액됐다.

특히, 환경부 산하공공기관 2018년 집행예산 지출 기금에서 한국환경공단(K-eco)은 국토교통부에서 한국수자원공사(K-water)가 환경부로 합류되면서 물일원화 업무가 배분될 것으로 기정사실화하면서 약 10.3% 증액됐다. 다만 환경산업연구단지 운영체인 환경산업기술원(KEITI)는 총지출 예산 비용이 12.5%나 삭감됐다. 

지난 6일 환경부는 '사람과 자연의 건강성과 지속가능성'에 초점을 맞춘 6조6356억원 규모의 2018년도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이 국회 본회의 의결을 통해 최종 확정됐다고 이같이 발표했다.


당초 정부는 예산 5조5878억원, 기금 9275억원 등 총 6조5152억원 규모의 환경 예산 및 기금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그러나 국회 심의를 통해 12개 사업 455억 원이 감액됐고 26개 사업 1659억 원이 증액돼 1204억 원이 순증됐다.


2017년과 비교 예산은 205억 원(0.4%), 기금은 66억 원(0.7%) 감액돼 총 지출은 271억 원(0.4%) 줄었다.
국회 심의를 통해 증액된 주요 사업들은 예산은 전년(5조 7287억 원) 대비 0.4%(205억 원) 감소했다.

수계기금 및 석면기금은 전년(9340억 원) 대비 0.7%(66억 원) 감소했다. 하지만, 국내 석면해체철거시장이 불안전한 가운데 석면관련 질환자 증가가 늘어날 가능성에 대한 예산 확보는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국회 심의 과정에서 ▲위해우려 매립시설 처리비용 ▲보 구간별 수질 정밀조사 비용 ▲생태계 복원 및 생태서비스 확충비용 ▲수질개선시설 설치비용 등 증액으로 물산업 관련 중소기업과 재활용처리 산업에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유독성 침출수가 확산돼 인근 지하수와 지표수를 오염시키고 지역민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는 익산(석산복구지)과 제천(왕암동 폐기물매립장)의 매립시설에 대해 오염확산 방지 및 침출수 처리비 등으로 각각 15억 원과 19억 원을 증액했다.


국민들의 생태서비스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생태계 훼손지 복원사업을 10억 원, 생태탐방로·탐방안내소 등 생태탐방시설 조성사업을 21억 원 증액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2017년도 중앙정부기관에 대한 청렴도 등을 발표한 자료에는 환경부를 비롯 산하기관이 3등급, 4등급에 추락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흩어져 있는 환경 관련 정보를 융합해 빅데이터 처리기술을 응용 활용하기 위한 환경 융합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사업비가 신규로 20억 원 반영됐다.

 
그 외 4대강 등의 수질 개선을 위해 하수처리장 확충에 924억 원, 하수관로 정비에 504억 원,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에 17억 원, 비점오염저감시설에 6억 원 등이 늘었다.


정부안 국회 제출 이후 지자체의 사업철회 등으로 사정이 변경된 사업과, 집행가능성에 우려가 제기된 사업 등에 대해 총 455억 원을 감액함으로써 내실을 기했다.


박천규 환경부 기획실장은 "내년도 환경부 예산은 시설 투자에 경도돼 온 그동안의 편성방향에서 선회해 사람과 자연의 건강성과 지속가능성에 초점을 맞춘 집중한 예산"이라며 "조기집행을 위한 착실한 준비를 거쳐 속도감 있고 꼼꼼한 집행을 통해 예산의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영민 기자

김영민 기자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