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모예방 획기적인 식물 찾다

김영민 기자 / 2022-10-05 17:00:29
국립생물자원관-조재열 성대 교수 연구진
캄보디아 야생식물 추출물 탈모 예방 확인
특허 출원, 국내외 기업 기술이전 검토 중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환경부 산하 국립생물자원관이 탈모인들에게 최대 희소식인 탈모방지에 획기적인 식물을 찾았다고 5일 밝혔다.

국립생물자원관에 따르면, 조재열 성균관대 교수 연구진과 2년여간 공동연구를 통해 '코나루스 세미데칸드러스' 추출물에서 이 같은 효과를 확인했다.


코나루스 세미데칸드러스 주산지는 캄보디아와 라오스 등지에 서식하는 약용식물로 알려졌다.


그동안 환경부는 2007년부터 캄보디아와 생물다양성 공동조사를 진행해왔다.


이번 연구에 사용된 시료는 탈모의 원인인자인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5-알파 환원효소'와 만나 탈모를 유발하는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 전환되면서 발생한다고 밝혔다.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은 모낭 생장기를 단축하고 소형화를 일으켜 탈모를 유발한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 해당 식물 추출물은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전환을 유발하는 '5-알파 환원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모발 생성과 성장에 영향을 주는 모유두세포 생존과 증식에 관련된 단백질 발현은 돕는 것으로 확인됐다.

▲제모 후 코나루스 세미데칸드러스를 도포한 쥐(빨간색 네모)와 미 FDA의 승인한 탈모치료제 '피나스테리드'를 바른

쥐(최하단)의 변화.

연구진은 해당 추출물을 탈모증이 있는 실험용 쥐에 발랐을 때 미국 FDA 승인한 탈모치료제 '피나스테리드'를 바른 쥐에 견줘 모발이 더 잘 자라고 모발의 길이도 길고 굵기도 굵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관련 특허를 출원했고 기업에 기술이전을 검토하고 있다. 또 몽골과 라오스, 베트남 등의 자생식물을 활용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

한편,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관심질병통계에서 나타난 탈모 환자는 24만2960명(2021년 기준)에 달하는 것으로 알렸다. 특히, 탈모 치료를 포기한 탈모증 남녀 비율을 보면 1000만명에 육박한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영민 기자

김영민 기자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