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 화학물질, 작업환경 정보 기업이라고 영업비밀
법원과 국회 제출 안전보고서 엉성한 조작까지 드러나
![]() |
▲강병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화학물질 관련 유해화학물질 정보공개를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며 법안마련 등을 다양한 시민운동과 함께 의정활동도 주력해 주목을 받고 있다. |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반도체 근로자의 죽음이 세상에 드러난 것이 딱 10년이 흘렀다.
오는 3월 6일은 故 황유미의 10주기를 맞았다. 23살 황유미의 죽음은 삼성이 감춰 온 직업병 문제, 반도체 공장의 위험한 작업환경을 세상에 알리는 계기였다. 딸의 억울한 죽음을 밝히려는 아버지 황상기 씨의 호소로 2007년 11월 반올림이 만들어지고, 기업과 정부를 향한 긴 싸움을 시작했다. 그는 딸의 죽음을 올바르게 알리기 위해 투사가 됐다.
반올림측은 지난 10년 동안 삼성은 조금도 진심어린 사실 공개는 커녕 오히려 변하지 않는 동안 반도체 생산라인에서 일하다가 병들고 죽어간 이들의 수는 늘었고 삼성은 직업병 인정조차 하지 않았다고 개탄했다.
그 댓가로 한 해 1000억원이 넘게 산재보험료를 감면받을 정도로 후안무치했다고 밝혔다. 더욱 안타까운 점은 삼성측에서 비밀유지 조건으로 피해자에게 돈을 건내며 산재를 은폐하려는 시도는 계속돼 왔다고 반올림측 주장이다.
![]() |
더 충격적인 사실은 황유미에게 500만원을 건내고 없던 일로 만드려 했던 반복해왔다. 화학물질 정보나 작업환경 정보를 기업의 영업비밀이라며 은폐했다. 심지어 법원과 국회에 제출하는 안전보고서를 조작해서 지난해 말 반올림이 고발하기도 했다.
지금까지 드러난 삼성반도체/LCD 공장에서만 230여명의 피해자는 20~30대로 백혈병, 뇌종양 등 중증 질환으로 고통 받고 있다. 피해자들은 치료비와 생계문제 고통속에 그 중 79명이 안타깝게 사망했다.
그중 1월14일 79번째 사망자가 된 故 김기철씨는 79번째 사망자가 됐고 죽음의 행렬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반올림 자료에 따르면, 삼성계열사 전체로 보면, 피해자는 306명이 되고, 그 중 113명이 사망했다.
노동조합조차 허용되지 않는 공장에서 노동자들은 영문도 모른 채 죽어가고 있지만, 삼성측은 한 사람의 경영진도 처벌받지 않았다.
반올림측이 분개해온 점은 노동자의 피땀으로 번 돈을 뇌물로 건네고 그 댓가로 이재용 부회장은 수조원의 부당이득을 얻었다. 이 과정에서 국민연금까지 손을 대 5900억의 손실을 끼치고 인위적으로 삼성 세습을 이어가고 있다.
반올림 유가족 등 회원들은 500일째 삼성서초사옥에서 노숙농성을 앞두고 있다.
2015년 10월, 삼성은 사회적 중재기구인 조정위원회의 권고안을 거부하고, 반올림과 대화마저 단절했다.
앞서, 청문회에서 이재용 부회장은 "직업병 문제 해결이 미흡했고 노력하겠다."고 했지만 아직까지 삼성은 미온적이다.
반올림측은 삼성측에 4가지의 요구사항을 했다. ▲반올림과 대화에 나서라 ▲직업병에 대한 책임 인정하고 피해가족에게 공개 사과 ▲배제없는 투명한 보상 ▲예방대책 합의 성실히 이행하라.
반올림 관계자는 "고 황유미의 죽음 이후 10년, 지금까지 삼성은 변한 것이 없다. 억울하게 반도체 산업 일선에서 묵묵하게 열심히 일하다가 죽은 79명의 반도체 근로자들의 억울함에 대해 응답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