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는 물 속 미세플라스틱 제로화 착수

김영민 기자 / 2022-03-20 13:15:38
환경과학원, 전과정 통합 기반연구 본격 추진
발생원 실태조사, 유해특성 조사 등 4개 분야
신선경 부장 "먹는물 안전성 중점 만전 기해"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미세플라스틱(Micro-plastic)선제적 관리로 먹는물 안전성 높인다.

국립환경과학원(원장 김동진)은 국제적 환경현안인 미세플라스틱 오염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미세플라스틱 집중연구 중기 이행계획(2022~26)을 수립하고 올해부터 실행과제 연구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효과적인 미세플라스틱 관리방안 마련을 위해 ▲발생원 관리 ▲분석법 표준화 ▲환경 중 실태조사 ▲유해특성 조사 등 4개 분야에 걸친 전과정 통합 기반 연구의 19개 세부과제를 추진한다.

세부 추진과제는 미세플라스틱 배출원 분류체계 구축, 환경 시료 중 미세플라스틱 분석법 표준화, 먹는물‧수환경‧토양 등의 미세플라스틱 분포실태 조사, 미세플라스틱 노출 유해성 연구 등이 포함된다.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정확한 분포실태 파악, 연구기반 확립 및 관리대책 수립 등을 위한 분석방법을 정립하고 국가표준(KS)제정을 추진한다.

표준화를 추진하는 분석방법은 현미경이 결합된 적외선 분광법(FT-IR)으로,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도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는 미세플라스틱을 측정하는 가장 일반적이고 신뢰도가 높은 분석법 중 하나다.

표준화된 적외선 분광법을 이용해 먹는물, 강물, 하수 등의 미세플라스틱 함유 실태에 대한 신뢰성과 통일성 있는 측정자료를 확보해 국가 미세플라스틱 관리정책 마련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국민에게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 먹는물 미세플라스틱 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올해부터 2025년까지 4년간 본격적인 실태조사에 들어간다.


전국 주요 정수장의 원수‧ 정수 실태조사와 함께 유입원별 유입량 조사, 효과적인 유입방지 및 처리에 대한 연구를 함께 진행한다.

국립환경과학원은 2018년부터 매년 국제 미세플라스틱 학술토론회를 통해, 2020년에 독일환경청(UBA)과 업무협약을 체결해 해외 전문가들과 상호교류하고 미세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인 공동 협력과 대응 방안 모색에도 노력하고 있다.

신선경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기반연구부장은 "현재 국립환경과학원은 미세플라스틱 연구기반 마련을 위해 국가표준을 제안하고 본격적인 실태조사 등 전 과정 통합 연구를 시작하는 단계"라며, "먹는물 안전성에 중점을 두고 미세플라스틱 관리에 만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용어설명 미세플라스틱(Micro-plastic)

통상 5 mm 미만 크기의 플라스틱을 말하는 것으로, 미세플라스틱의 재질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알코올 등 다양하다.

1차 미세플라스틱은 세안제, 샴푸, 치약, 화장품 등에 사용된 것, 2차 미세플라스틱은 의류, 가방, 포장지, 컵, 병, 산업용 및 어업용의 플라스틱 제품이 물리.화학적으로 파쇄되거나 분해돼 만들어지고 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영민 기자

김영민 기자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