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간 배전선로 정전의 32%가 기자재 불량으로 나타나
박정 의원 "정기적 전기설비 점검 및 철저한 관리해야"
[환경데일리 한영익 기자]최근 4년간 배전선로 정전원인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지상개폐기, 지중케이블의 기자재 불량 순으로 나타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박정 의원(더불어민주당, 파주시을)이 KEPCO 한국전력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공개했다.
박정 의원실은 자체 분석한 결과, 배전선로 정전현황은 2013년 702건에서 2017년 509건으로 점점 줄고 있으나 일부지역은 전년대비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밝혀졌다.
전년대비 증가율을 보면, 강원 지역이 46%로 가장 많이 증가했다. 뒤이어 광주전남(36%), 경기(29%), 대구경북(5%), 충북(3%) 순이었다. 반면, 서울 지역의 경우 전년대비 42%나 감소해 지역적으로 증감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배전선로 불량 중에는 차량충돌이나 건설현장 중장비 접촉 등으로 인한 일반인 단순 과실도 30%인 것으로 나타났다.
박 의원은 "기자재 불량으로 인한 정전이 많다는 것은 해당 관리기관의 철저한 보수점검이 필요하다."고 방증했다고 밝혔다.
박정 의원은 "배전선로 정전 매년 줄고 있지만, 일부지역에서 늘어나고 있는데 한국전력공사는 정기적인 전기설비 점검 및 철저한 관리를 통해 배전선로 정전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