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36년까지 15년간 장기 송변전설비 세부계획
국가첨단전략산업, 에너지믹스 적기 이행 목표
원전 및 재생에너지 활용 반도체 등 전력공급
송변전소 및 초고압 송전탑 건설 갈등 우려
제조업 전기요금 현실 부과 불가피론 논의
[환경데일리 고용철 기자]한전이 중장기적인 국가에너지공급망 청사진을 내놨다.
한국전력(대표이사 사장 정승일)은 국가 에너지 안보 확립을 위한 안정적 전력계통 구축을 목표로 수립한 '제10차 장기 송변전설비계획'이 산업부 제282차 전기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2022년~ 2036년까지 15년간의 장기 송변전설비 세부계획으로,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전력수급 전망과 송변전설비 확충기준에 따라 수립됐다.
한전은 이번 계획을 통해 유연하고 안정적인 전력망 구축을 위해 계절 및 시간대별 시나리오 기반의 설비계획을 도입할 방침이다. 특히 지역 간 전력융통망 보강을 통해 원전, 재생에너지 등 무탄소전원을 적기에 연계하겠다는 로드맵도 밝혔다.
또한 기존 전력설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신기술 및 전력망 건설 대안기술(NWAs, None-Wire Alternatives)을 확대해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전력계통을 구축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사계절과 아침·점심·저녁·심야 시간대별 전력계통 해석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재생에너지의 비중 확대에 따른 미래 불확실성을 사전에 분석해 전력망 보강방안을 수립할 계획이다.
또한, 서해안-수도권 HVDC 기간망을 구축해 재생에너지 등 무탄소 전력이 부족한 수도권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향후 빠른 속도로 세계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 HVDC분야의 산업생태계를 견인할 예정이다.
이번 제10차 장기 송변전설비계획은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상향에 따라 설비보강물량이 크게 늘었고, 이러한 대규모 전력망 보강의 장기화에도 대비하고자 유연송전시스템(FACTS) 등 전력망 건설 대안기술(NWAs, None-Wire Alternatives)을 확대할 예정이다.
한전은 이번 계획이 국가 첨단전략산업의 적기·안정적인 전력공급에 기여하고, 향후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전력인프라를 마련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시급하고 중대한 과제라고 강조하며 어려운 재무여건 하에서도 이번 계획을 차질 없이 이행하겠다고 밝혔다.
향후 지역별 전력수급 여건, 정부의 에너지정책 등을 반영해 수립된 계획이 적정한지 지속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며, 이번 계획에 포함된 개별사업에 대해서는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마련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송전탑 건설 등 전력망 확충에 따른 지역간 갈등과 전기요금 현실화를 기반으로 인상 폭을 제조업에 몇 퍼센트 적용할지도 최대 관심사다.
'제10차 장기 송변전설비계획' 상세한 내용은 한국전력 홈페이지(http://www.kepco.co.kr)를 통해 공개했다.
▲연도별 송변전소 설비 구축 계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