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킨텍스서, 수도권매립지 직매립 금지 대안 찾기
지자체 최초 특허 '생활폐기물 순환경제 처리'구축
![]() |
▲이번 포럼은 고양특례시, 고양시정연구원이 마련했다. |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수도권매립지에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에서 배출되는 생활쓰레기가 2026년부터 반입이 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각지자체는 신규 소각장 신설, 자원회수시설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생활계 쓰레기 배출 체계를 개편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모아지고 있다.
고양특례시가 13일 킨텍스 2전시장 408호에서 '생활폐기물 감량 폐기물 처리 기술 포럼'을 개최한다 정부의 2026년 수도권매립지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를 앞두고 열리는 포럼이다.
이 자리에서 고양시가 지자체 최초 특허출원한 '도시 생활폐기물 순환경제 처리 탄소시스템'구축 모델을 소개한다.
또한 ▲신규 폐기물 처리시설 설치 주변지역 복합인프라 개발 방안 ▲폐기물처리시설 피해영향지역 주민을 위한 주민지원기금 산정방식 등을 다룰 예정이다.
'도시 생활폐기물 순환경제 처리 시스템'은 폐기물 수거 및 분류, 구분 및 이송, 소각 및 재생에너지생산, 폐기물 처리시설 인접지역 복합인프라 개발을 통해 생활폐기물의 효과적인 처리와 자원순환경제 활성화를 유도하는 체계이다.
이번 포럼에서 환경부 폐자원에너지과 '폐비닐 열분해기', ㈜동해종합기술공사 폐기물처리시설 환경오염물질 감축 방안 등 생활폐기물 감량을 위한 최신 기술 동향과 아이디어가 모일 예정이다.
포럼에 의견을 제시하고 싶은 시민과 지자체, 공공기관, 기업, 연구소 관계자는 포스터에 있는 QR코드를 통해 다양한 생활폐기물감량 및 폐기물처리기술에 대해 의견을 제출할 수 있다.
시 관계자는 "지난해 1년 동안 고양시에서 발생한 생활폐기물 11만2000여톤 중 절반이 넘는 6만7000여 톤이 수도권매립지에 매립됐다. 2026년이 오기 전에 폐기물처리 문제 해결이 시급하다”고 밝히고 “이번 포럼에서 창의적인 생활폐기물 감량 기술과 최신 생활폐기물 처리 방안에 대한 아이디어를 모을 것"이라고 전했다.
![]() |
▲환경부는 쓰레기 줄이기와 자원낭비를 최소화하기 위한 1회용품 사용 적용범위를 강화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