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모든 기관 전기차 구매 3배 이상 늘려
김영민 기자
news@ecoday.kr | 2017-04-28 00:35:54
한전, LH공사, 한국환경공단 순 올해 전기차 구매 계획 높아
신모델 출시 등 고려, 전기차 의무구매비율 단계 확대 예정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산업통상자원부는 2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전국 17개 지자체의 전기차 담당자와 '전기차 산업발전 및 보급 활성화' 간담회를 열었다.
간담회는 산업부, 17개 광역자치단체 전기차 담당, 한국전력공사(KEPCO), 한국에너지공단 등 전기차 관련 기관 관계자들이 60여명이 참석했다.
간담회에 주요 안건은 ▲2017년도 전기차 정책 ▲각 지자체별 전기차 보급 및 산업육성 계획을 발표했다.
이날 회의는 각 지자체의 전기차 보급 현황 점검과 전기차를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유망 신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정부-지자체의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했다.
이 자리에서 산업부는 전기차 개발 및 보급 지원 정책을 설명하고, 올해 공공부문의 전기차 구매계획이 원활히 이행될 수 있도록 각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과 관심을 당부했다.
정부는 지난해 7월 발표한 전기차 발전전략을 기반으로 전기차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성능향상을 위한 기술개발, 충전 인프라 대폭 확충, 구매·운행 시 인센티브 확대 등을 집중 추진해 왔다.
지난해 1분기 대비 전기차의 국내 보급대수는 8배 이상(2016년 223대 → 2017년 1806대), 수출액은 9% 증가하는 등의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산업부가 242개 주요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016년에 총 업무용 승용차 2998대 중 545대를 전기차(527대)?수소차(18대)로 구매했다.
기관 유형별로는 공공기관(286대), 기초지자체(167대), 광역지자체(62대), 중앙행정기관(8대), 지방공기업(4대) 순으로 전기차를 구매했고, 광역지자체는 제주도, 광주, 기초지자체 중에는 창원시, 고양시, 공공기관은 한전, 한수원이 가장 많은 전기차, 수소차를 구매했다.
수소차는 광역지자체(15대), 중앙행정기관(2대), 공공기관(1대)에서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부 소관 공공기관(22개)은 총 507대의 구매 차량 중 223대(44%)를 전기차로 구매했다.
한편, 2017년에 전체 공공부문(1132대)에서 지난해(579대)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한 1936대의 전기차 구매(수소차 43대 포함)를 계획하고 있어, 평균 전기차 구매비율이 43.6% 수준으로 공공기관의 전기차 의무구매비율(’16년 25% → ‘17년 40%)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부 소관 공공기관(41개)들은 총 805대의 업무용 차량 중 564대(70%)를 전기차로 구매하기로 했다.
광역자치단체는 울산시, 제주도, 서울시, 기초자치단체 중에는 창원시, 부천시, 성남시, 공공기관은 한전, 한국토지주택공사(LH), 환경공단 순으로 올해 가장 많은 전기차를 구매할 계획을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지자체들은 공통적으로 전기차 충전소 확충의 필요성에 대해 역설했으며, 산업부는 환경부, 한전 등과 협력해 지자체, 전기차 이용자 등의 수요를 반영 공공 충전인프라를 구축해나가는 한편 민간충전사업자도 육성해 나갈 계획을 밝혔다.
전기차의 성능향상, 신모델 출시 등을 고려, 전기차 의무구매비율의 단계적 확대를 검토할 예정이며, 공공기관의 선도적인 수요 창출을 통해 조성된 전기차 활용 문화를 민간기업으로 확산시켜 전기차 보급을 확대해 나갈 것임을 강조했다.
한편 KT는 올해 교체하는 모든 업무용 차량의 50%를 전기자동차1,000대)를 바꿔 운행한다. 구매차량은 비율은 현대자동차 아이오닉, 쉐보레, 기아, 르노삼성 등 균형을 갖출 것으로 보인다.
[ⓒ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