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산업 초비상 '무역관세장벽' 묘수찾기
윤경환
yun_2044@naver.com | 2018-02-21 09:44:49
권오준 협회장 "국내 업계 저력으로 피해 최소화 힘쓸 것"
적극 통상대응 및 전략시장 협력 통한 철강수출 안정화 주력
정부간 다자 통상채널 통한 규제국 불공정 조치 요청 계획
[환경데일리 윤경환 기자]철강업계는 적극적 통상대응 및 전략시장과의 협력으로 철강수출 안정화를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한국철강협회는 21일 오전 11시 포스코센터 서관 18층 스틸클럽에서 권오준 회장 등 회원사 대표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51회 정기총회를 개최하고 2018년도 사업계획을 확정했다.
이 자리에서 권오준 철강협회장은국내 철강산업은 우리 산업의 주춧돌 역할을 해온 저력을 바탕으로 무역장벽을 이겨내는 슬기로움과 모든 회원사간의 협업을 통해 내실경영을 할 수 있도록 하자는 메시지를 전달 할 예정이다.
이날 확정된 사업계획에 따르면 2018년도 사업추진의 기본목표인 '대내외 리스크 적극 대응을 통한 철강산업 혁신성장 지원'에 초점을 맞춰 다양한 사업을 발굴, 추진키로 했다.
철강협회는 2018년도 핵심과제로 ▲통상환경 및 불공정 수입 대응 ▲정부정책 변화 대응 ▲중장기 경쟁력강화 지원 ▲위원회별 특화 서비스 제공 ▲사무국 혁신 등을 선정했다.
철강협회는 232조 조치 확정 전후, 민관 합동대책 수립 및 시행을 통해 불공정한 무역구제 조치에 적극 대응할 예정이며, 정부간 다자 통상채널(OECD 철강위 등)을 통한 규제국의 불공정 조치에 대해 시정을 요청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주요 철강 교역 대상국과의 지속적인 협력 체계 유지 및 주요 수출시장 구조 분석과 모니터링 강화를 통한 통상마찰 사전 차단 등 수출 애로사항을 적극 해결할 계획이다.
또한, 수입신고제도 개선 및 KS인증심사 기준 합리화 등 불공정·부적합 수입대응 강화를 통해 '수출 3000만톤, 수입 2000만톤 이내 유지'를 전략목표로 잡고 국내 업계 피해 최소화를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철강협회는 산업용 전기요금 및 미세먼지, 온실가스 등 환경규제, 화물운송 표준운임제 등으로 인한 비용 상승을 최소화하기 위해 산업계 공동건의 및 대응방안 연구 등 정부 정책 변화에도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하이브리드(Hybrid)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 및 고부가 금속소재 전문인력 양성 사업, SteelKorea 확대 운영 등 혁신 기술 개발 및 인력양성 활동에도 속도를 낼 예정이다.
이번 총회에는 권오준 포스코 회장 외에 현대제철 우유철 부회장, 동국제강 장세욱 부회장, 세아제강 이순형 회장, 동부제철 김창수 사장, 한국철강 문종인 부사장, TCC동양 손봉락 회장, 고려제강 홍영철 회장, 휴스틸 박훈 대표 등 회원사 대표 20여명이 참석했다.
한국철강협회는 1975년 7월 철강산업의 국제경쟁력 제고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함으로써 국가 경제발전과 선진화에 기여하고 회원간의 친목을 증진하기 위해 설립됐다. 회원사는 철강을 제조하는 정회원 37개사와 특별회원 5개업체 및 단체로 구성돼 있다.
[ⓒ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