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히 몸에 해로운 방향제, 초, 문신용염료 팔려

김영민 기자

sskyman77@naver.com | 2023-04-05 10:55:13

생활화학제품 유통감시 강화로 국민안전 확보
22년 하반기 안전표시기준 위반 693개 제품 퇴출
가습기 사용 가능 아로마오일' 표시 모두 '불법'
환경부, KEITI 지난해 2만 1121개 제품 조사 발표
온라인 판매 등록 철저 유통체계 점검 개선 유도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여전히 인체 건강에 해를 주는 방향제, 초, 잉크, 차량용 광택코팅제, 문신용염료까지 팔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KEITI)은 지난해 하반기 동안 '화학제품안전법'에 따라 2만 1121개 제품을 조사한 결과를 공개했다.


이에 위반한 693개 생활화학제품에 대해 제조 및 수입 금지 등 유통을 차단했다고 밝혔다.


이들 위반제품은 ▲유통 전 신고· 승인 등 절차 626개 ▲신고시 안전기준 적합했으나 실제 유통된 유해물질 함유기준 초과 62개 ▲표시기준 위반 5개 제품 등이다.


이버 적발된 626개 품목별로는 방향제(228개), 초(155개)가 가장 많았다. 특히 적발된 방향제 중 '가습기용 생활화학제품’으로 불법 판매된 사례(6개 제품)가 있어서 구매 때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가습기용 생활화학제품'은 시장 유통 전에 국립환경과학원으로부터 안전성과 효능·효과를 사전 승인받아야 하나, 현재까지 적법하게 승인받은 제품은 전혀 없다. 방향제로 신고된 제품이라도 '가습기에 사용 가능한 아로마오일', '가습기에 사용 가능하다'는 등 표시·광고한 제품은 모두 불법으로 반드시 주의해야 한다.

유해물질 함유기준을 초과해 적발된 제품은 62개로 미용접착제(24개), 문신용염료(24개), 인쇄용 잉크·토너(7개), 제거제(4개), 특수목적코팅제(2개), 광택코팅제(1개) 등이다.


이 중 미용접착제 24개 제품에 들어있는 금지물질인 메틸메타크릴 레이트(MMA)가 최대 158mg/kg, 문신용염료 13개 제품은 니켈이 최대 43mg/kg이 나왔다.


메틸메타크릴 레이트 농도가 높으면 폐부종을 일으키고, 태아발달장애와 알러지등을 유발한다. 니켈을 반복적으로 접하면 천식을 유발한다. 


문신용염료(1개), 인쇄용 잉크·토너(7개), 제거제(2개) 등 10개 제품은 납이 최대 9.2mg/kg 검출돼 안전기준(1mg/kg)을 초과했다.


환경부는 이들 제품이 시중에 유통되지 않도록 행정처분과 함께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운영하는 '위해상품 판매차단시스템'에 등록시켰다. (사)한국온라인쇼핑협회에도 판매·유통 금지를 요청하고 시행 중이다.


환경부는 회수명령이나 판매금지 조치 등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 재판매·유통되지 않도록 '재유통 모니터링 전담인력'을 배치 지속적으로 감시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위반사례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 확인·신고 등 절차를 이행하지 않고 유통하는 불법제품을 근절하기 위해 앞서서 시장감시를 강화할 예정이다.

온라인 구매증가 등 소비형태 변화에 발맞춰 온라인 상시 감시 제품 수를 지난해 1만개에서 올해 1만 5000개로 늘리는 등 불법제품 유통을 선제적으로 차단할 방침이다. 온라인유통사와 협업해 신고·승인번호가 없는 생활 화학제품은 온라인 판매창구에 등록을 원천적으로 할 수 없도록 유통체계를 점검하고 개선을 유도할 예정이다.


반복적으로 안전기준을 초과하는 제품에 대한 감시와 관리도 강화할 예정이다.


문신용염료, 미용접착제 등 안전기준을 지속적으로 위반하는 품목의 제조·수입자를 대상으로 주기적인 원료품질검사 요청과 함께 해당 품목에 대한 안전성조사 비중을 확대하는 등 집중적으로 점검하고 안전기준 위반 시 엄격하게 조치할 예정이다.


권병철 환경부 화학제품관리과장은 "생활화학제품을 구매할 때는 적법한 제품인지를 먼저 확인하는 습관이 중요하다."며 "상시 감시와 더불어 관계기관 간협업 강화 등을 통해 불법 생활화학제품 근절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KEITI)관계자는 "소비자들이 자주 이용하는 마켓은 물론 온라인상 쇼핑몰에서 생활화학제품류를 구매할 때는 안전기준이 정확하게 표기돼 있는지를 살피고 특히 어떤 성분이 첨가돼 있는지를 보고 구매해야 한다."고 거듭 당부했다.

 


[ⓒ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