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경영진, 다보스포럼에 총집결 이유

김영민 기자

news@ecoday.kr | 2018-01-24 11:20:28

한국경제 주춧돌 신사업 블루오션 찾기 다각화
SK와 글로벌 기업간 신 협력 모델 개발 등 추진
세계 리더 대상으로 평창 동계 성공적 모색 나서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SK의 보다 높고 분명한 미래 가치 창출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링(Global Partnering)이 주력한다.

SK그룹 경영진이 전세계 글로벌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스위스 다보스포럼에서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에 나섰다.


SK그룹 경영진은 최태원 회장이 올 초 신년사에서 강조한 '글로벌에서의 새로운 비즈니스 확보'를 위해서는 종전과 다른 방식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고 ▲국가차원의 성장동력 발굴 위한 협력 강화 ▲SK와 글로벌 기업간 신 협력 모델 개발 ▲글로벌 기술 트렌드에 맞는 비즈니스 모델 최적화 등을 적극 실행키로 했다.


이를 위해 최태원 회장은 물론 최재원 SK그룹 수석부회장, 유정준 에너지·화학위원장(SK E&S 사장 겸임), 박정호 ICT위원장(SK텔레콤 사장 겸임), 김형건 SK종합화학 사장 등 SK 경영진은 23일(이하 현지시간) 개막된 다보스포럼에 참석 중국, 베트남, 사우디아라비아 등 정부 리더들과 만나 협력 방안을 모색하거나 에너지·화학, ICT, 반도체 등 재계 리더들과 만나 비즈니스 모델 다각화에 대해 논의했다.


구체적으로 최 회장은 이날 오전 다보스포럼 메인 행사장인 콩그레스센터에서 샤오야칭(肖亞慶) 중국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국자위) 주임과 만나 SK그룹과 중국 국자위 산하 여러 국영기업과 협력할 방안을 논의했다.


SK그룹은 2013년 중국 시노펙(SINOPEC)과 공동으로 '중한석화'를 설립해 협력모델을 성공시킨 바 있는 가운데 자산규모만 40조위안에 달하는 중국 국영기업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샤오야칭 주임이 신재생에너지와 스마트그리드 등 중국의 전략적 신흥사업에 관심이 높다는 점에서 향후 SK그룹과의 협력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업계는 전망하고 있다.


최 회장은 이날 오후에도 콩그레스센터에서 브엉 딘 훼(Vuong Dinh Hue) 베트남 경제부총리를 만나 SK그룹의 주력 사업분야인 에너지·화학, ICT 등 분야에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베트남은 종전 원유수출 중심의 국가 사업구조를 서비스업, 디지털 플랫폼 사업, 벤처·스타트업 육성 등으로 다변화한다는 방침이어서 SK그룹과의 글로벌 파트너링(Global Partnering)은 한층 주목되고 있다.


최 회장은 24일에 동남아시아판 우버로 불리는 그랩(Grab)의 앤소니 탄(Anthony Tan) 대표와 만나 사업영역이 무한하게 확장되고 있는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 플랫폼의 미래 비전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최 회장은 동남아 지역 주민들의 이동성 제약이라는 사회문제를 차량호출이라는 사업모델로 해결하기 위해 5년 전 30세 때 그랩을 공동 창업한 탄 대표의 혁신적 아이디어를 높이 평가한 바 있다.


최 회장은 탄 대표와 만나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도 얼마든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고, 탄 대표도 동남아 지역 소비자가 불편을 겪는 실시간 결제 문제를 풀기 위해 그랩페이(GrabPay)를 출시했다면서 최 회장의 의견에 공감했다.

유정준 위원장과 박정호 위원장, 김형건 사장 등 경영진도 에너지·화학 분야나 기존의 경제에 디지털이 융합하는 디지털 이코노미 분야 등 전문가와 만나거나 관련 세션에 참석해 글로벌 기술동향을 파악하면서 종전 비즈니스의 틀을 깨는 블루오션 발굴도 함께했다.


최 회장은 25일에 압둘라지즈 알자부(Abdulaziz Al-Jarbou) 사빅(SABIC) 신임 회장과 만나 다양한 사업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미 SK와 사빅은 2015년 울산에 합작공장을 준공, SK종합화학이 자체 개발한 고성능 폴리에틸렌 제품인 넥슬렌을 연간 23만톤 규모로 생산하는 등 성공 모델을 만든 바 있다.


최 회장과 SK 경영진은 25일 저녁 다보스 인터콘티넨탈호텔에서 열리는 '한국 평창의 밤'행사에도 참석, 행사에 참가하는 전 세계 정치·경제 리더를 대상으로 국가적 행사인 평창 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을 알리고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SK그룹은 최태원 회장이 2010년 다보스포럼에서 사빅 경영진과 만나 넥슬렌 합작공장 건설을 제안해 실제로 비즈니스로 연결시키는 등 다보스포럼과 같은 국제포럼을 비즈니스 확대의 장으로 삼고 있다며 앞으로도 SK 경영진은 국내외에서 개최되는 여러 국제포럼을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를 쌓는 것을 넘어 국가차원이나 SK 비즈니스 차원의 성공모델을 지속적으로 찾아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