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광고인재육성사업, 최순실 관련 기업이 3년 독점

김영민 기자

news@ecoday.kr | 2017-08-08 17:57:41

(사)한국크리에이티브광고원 수의계약 사업 독점
출범 한 달, 사업서 제출 하루 만에 사업자 선정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문체부의 '글로벌광고인재육성'사업을 최순실 관련 기업이 지난 3년 간 독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노웅래 의원(더불어민주당, 마포 갑)에 따르면, 글로벌광고인재육성사업의 보조사업자는 플레이그라운드(실소유주 최순실)의 김홍탁씨가 이사로 있던 (사)한국크리에이티브광고원에서 지난 3년간 독점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문체부의 글로벌광고인재육성 사업은 우수 광고인재를 양성하고 국내 광고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2014년부터 시작된 사업이다. 

2014년 시범사업 당시 한국광고총연합회가 보조사업자로 사업을 수행했으나 사업이 본격 시작된 2015년부터는 (사)한국크리에이티브광고원이 수의계약을 통해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당시, 설립한 지 불과 한 달도 채 되지 않은 신생업체였다.

법인등기부 등본을 통해 확인한 결과, (사)한국크리에이티브광고원이 설립된 것은 2015년 2월 11일이다. 하지만 문체부는 그 해 3월 5일 최종사업자로 선정했다.


또한 광고원에서 제출한 사업계획서를 문체부에서 검토하고 확정하는 기간도 단 하루밖에 걸리지 않았다. (사)크리에이티브광고원에서 사업을 위탁받은 이후에는 예산 규모도 5억 원으로 급증했다. 2015-2017년간 (사)크리에이티브광고원에 지금된 금액은 15억원에 달한다. 
 

노웅래 의원은 "문체부가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의 광고교육원, 한국광고총연합회, 한국광고주협회, 한국광고산업협회 등 광고인재육성사업을 할 수 있는 유사 기관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사)한국크리에이티브광고원의 사업계획서만을 받아보고 사업자를 선정한 것은 문제가 많다."고 지적했다.
 

또한 "글로벌광고인재육성사업은 한국크리에이티브광고원에 사업을 주기 위해 기획된 사업으로, 기획부터 사업자 선정까지 모든 과정이 최순실 일당이 기획하고 문체부의 도움을 받아 법인허가 설립을 일사천리로 진행했던 미르재단·K스포츠재단을 보는 듯하다."고 비판했다.
 
노 의원은 "광고 전문 인력 양성은 대학과 업계가 자율적으로 추진해야 할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문체부가 직접 수행하고 있다. 2018년도 예산심사에서 사업 폐지를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