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영 집나간 꿀벌 찾기 프로젝트

이은수

news@ecoday.kr | 2016-02-17 23:06:12

유넵, 네이버 해피빈과 함께 생명 나눠준 꿀벌 실종 기금
꿀벌전문가,꿀 멸종 곧 인류 멸망 높아 이구동성 한 목소리

[환경데일리 이은수 기자] 꿀벌지구의 살림꾼 꿀벌이 없는 세상을 상상해보셨나요?

꿀벌이 없어지면 인류도 4년 안에 사라진다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바로 세기의 천재 아인슈타인이 한 경고인데요. 꿀벌은 먹이사슬의 최하층인 식물의 번식을 돕는 가루받이 역할을 한다.

꿀벌은 식물에서 꽃가루와 꿀을 얻는 대신 수분 작용을 통해 식물에게 열매를 맺게 해준다.

사과, 딸기, 호박, 오이는 물론이고 아몬드, 블루베리, 체리, 멜론, 커피 등 인간이 먹는 대부분의 작물은 꿀벌 없이는 열매를 맺지 못한다.

꿀벌이 사라지면 먹이사슬의 생산층이 사라지는 것. 동식물은 물론 우리의 식량 안보에도 심각한 타격을 입힐 수 있다.

당장 우리가 섭취하는 과일, 채소, 견과류도 사라지고, 식물을 섭취하는 가축도 사라지며, 아인슈타인의 말처럼 더 이상의 인류도 없을 것.

침묵의 봄, 사라진 꿀벌들꿀벌 개체 수 감소 원인으로는 지구 온난화, 서식지 파괴, 기생충 등 다양한 가설이 제기되고 있다.

그중 살충제 및 제초제로 사용되는 네오니코티노이드 성분이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 되고 있다. 네오니코티노이드 성분의 살충제는 유전자 변형작물(GMO) 재배 시 흔히 사용되고 있다.

네오니코티노이드 성분의 꽃가루를 먹는 꿀벌은 신경계 이상 증세를 보이며 곧바로 죽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꿀벌이 나르는 꽃가루에서 150 가지의 화학물질이 발견되기도 했다.

유럽연합(EU)은 2013년부터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 사용을 전면 금지하기도 했다. 느리지만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미 농무부는 꿀벌의 개체 수가 전년 대비 42% 감소했다고 밝혔다.

백악관에서는 꿀벌의 개체 수 보존을 위해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고, 500억 이상의 예산을 꿀벌 보존 프로젝트에 지원했다.


또 많은 기업과 시민들은 살충제 사용 금지를 촉구하는 No bees, No food 캠페인에 동참하며, 느리지만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유넵한국위원회 2013년부터 꿀벌 보호를 위한 국내외 다양한 지원 사업을 전개해왔다.

그 중 꿀벌 보존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세미나, 사진전, 캠페인 등 적극적인 지원 활동을 열정을 쏟아왔다.

이번 기금마련에 나선 것도 많은 분들이 꿀벌에 관심을 가지고, 개체 수 보존 방법을 함께 모색해 나가기 위한 실천행동이라며 적극적인 관심과 기금 동참을 요청했다.

[ⓒ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