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세계미래발전포럼, 국제미래학회 철도학회
제주서울 해저터널 및 미래 교통 컨퍼런스
제주도까지 해저터널 건설에 대한 공론화의 첫걸음이 열렸다.
제주세계미래발전포럼(대표회장 안종배)은 한국철도학회, 국제미래학회와 공동으로 30일 제주 메종글래드호텔에서 '제주-서울 해저터널 및 제주도의 교통 인프라 미래 발전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날 장정언 제주도의회 전 의장을 비롯한 제주 오피니언 리더 100여 명, 박채옥 한국철도연구원 원장 등 전문가 20여 명이 참석해 열띤 토론을 이어갔다.
컨퍼런스는 관광객 1500만 시대를 맞은 제주도가 교통 혼잡, 물류비 상승, 기후위기 대
응 등 복합 과제에 직면한 가운데 제주-서울 해저터널 고속철도 가능성과 첨단 교통 플랫폼 모색을 통해 제주도의 지속 가능한 미래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인사말을 전한 송창권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더불어민주당 대표 의원은 "제주도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해저터널 논의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필수 과제가 됐다."고 강조했다.
송 의원은 "제주-서울 해저터널은 단순한 교통 인프라를 넘어, 미래 제주도의 물류·관광·산업 전반의 균형 발전을 이끌 핵심 동력이 될 것"이라며 "찬반을 넘어 제주도민과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공론화 과정이 본격적으로 시작돼야 한다."고 밝혔다.
좌장을 맡은 안종배 국제미래학회장은 "이번 컨퍼런스는 제주-서울 해저터널 사업이 앞으로 10년후인 2035년 제6차 국가철도종합계획에 포함되도록 할 것인지 논의하는 첫 출발점"이라며 "전세계적으로 하이퍼루퍼 등 미래 초고속 철도산업의 상용화 초기인 2036년부터 2045년까지 국가 철도 계획에 제주-서울 해저터널 초고속 철도 건설이 반영되기 위해 제주도의 공론화가 필수적이며 오늘이 시발점"이라고 밝혔다.

안 회장은 "제주-서울 해저터널은 단순한 수익성 논의만이 아닌, 제주도민의 행복과 미래 발전을 중심에 두고 검토돼야 한다."며 "경제성 뿐만 아니라 기후위기 대응, 국가균형발전, 미래철도산업 선도, 일자리 창출, 제주도 청년들의 미래 비전 제공 등 다각적 요인을 함께 고려해야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제주도의 섬 정체성 상실, 관광 악화, 해저 환경 훼손, 방문객 과밀, 비용 대비 낮은 수익성, 제2공항 추진 영향 등 제주-서울 해저터널 반대 측의 의견도 존중하며 폭넓은 공론화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첫 주제발표는 고창남 제주건설환경포럼 회장이 '제주-서울 해저고속철도 왜 필요한
가'를 주제로 발표했다.
고 회장은 "제주-서울 해저터널은 단순한 교통 연결이 아니라, 대한민국을 유라시아 대륙철도망으로 확장시키는 국가 전략 프로젝트"라며, 그 필요성을 여섯 가지 측면에서 제시했다. ▲유라시아 대륙횡단철도 기점화 ▲MaaS 기반 교통 패러다임전환 ▲저탄소 교통혁신 ▲체류형 고급관광 전환 ▲스마트 물류벨트 구축 ▲미래 교통기술 실증지 조성 등이다.

이어서 강진동 스튜디오갈릴레이 부사장은 '철도-DRT 연계 교통플랫폼 개발·실증'을 통해 철도와 맞춤형 대중교통(DRT)을 결합한 미래형 교통 모델을 제시하며, 제주형 교통 생태계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안했다.
토론에서 ▲이창운 한국교통연구원 전 원장 ▲김덕문 전 제주도농업단체협의회 전 회장 ▲현덕규 제주도 해상물류 전문 변호사 ▲노준기 한국철도공사 경영연구처장이 참여해 교통·관광·물류·법률·기술 등 다방면의 시각에서 제주도의 교통 인프라 미래 전략을 제시했다.
객석 토론에서도 계층의 의견이 이어졌다. 김순두 전 제주MBC 사장은 "25년전 정주
영 현대그룹 회장과의 대화에서 이미 해저터널의 필요성을 절감했다."며 제주 해저터널 제안의 역사적 배경과 효과를 설명했다. 또한 교통대학교 1학년 학생은 "제주의 물류 시스템 개선과 미래산업 발전을 위해 해저터널은 필수 인프라"라고 역설했다.
김태관 제주문화예술진흥원 전 원장은 "해저터널은 기후에 구애받지 않고 제주도가 세계적인 문화·예술 행사 개최와 교류를 가능케 할 기반"이라며 문화예술적 효과도 제시했다. 현장의 참석자들은 찬반을 넘어 제주도의 미래 발전과 도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제주-서울 해저터널에 대한 미래지향적이고 실질 논의가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제주세계미래발전포럼 측은 “제주도의 해저터널 논의는 현재의 지역 현안이 아닌 2035년이후 제주도와 대한민국의 철도 산업과 교통 체계의 미래 발전을 위한 출발이며 제주도의 미래 위상과 대한민국의 철도 미래 산업 프로젝트를 위한 본격적인 공론화 단계이다.
이번 행사가 단순히 교통 인프라 논의를 넘어 제주도가 세계적 미래허브로 도약하기 위한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환경데일리 = 장수익 제주취재본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