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수소차 1.1만대 시작 30년까지 99만대 전환
기업에 구매보조금, 충전 기반시설 설치 지원 예정
[환경데일리 추호용 기자]매년 렌트카 평균 100만 이용객 시대를 감안하면 무공해차량 공급이 더딘 점을 사실이다.
렌트카, 리스차가 널리 쓰이는 보편적인 교통수단으로 자리잡고 있지만, 대부분, 디젤 경유차량과 LPG차량이 많았다.
사실상, 친환경 무공해차량으로 빗겨내 관련 업계에서도 미세먼지 저감 정책에 자유롭지 못했다.
뒤늦게 환경부는 수송부문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10개 자동차 렌트·리스업체와 뜻을 같이해 영업용 보유차량을 2030년까지 무공해차(전기·수소차)로 100% 전환한다는 약속을 받았다.
앞으로, 순수전기차로 등극한 아이오닉 전기자동차를 손쉽게 렌트나 리스해서 탈 수 있게 됐다.
이같은 의지를 보이기 위해 공개적으로 선언식을 별도로 가졌다. 선언식에는 한정애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25일 오전 마포구 문화비축기지에서 그린카, 더케이오토모티브, 롯데렌탈, 선경엔씨에스렌트카, 쏘카, 에스케이(SK)렌터카, 제이카, 피플카, 화성렌트카, 현대캐피탈 등 10개 자동차 렌트·리스업체, (사)한국자동차환경협회와 함께 '한국형 무공해차 전환 100' 선언했다.
환경부는 자동차 렌트·리스업체가 국민에게 적은 비용으로 무공해차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대부분의 공공기관과 기업들이 차량을 임차해 운영하고 있는 점을 고려해 무공해차 대규모 전환 수요를 창출하는 '한국형 무공해차 전환 100'선언 행사의 첫 번째 주자로 차량 렌트‧리스업계를 선정했다.
이번 참여한 10개 자동차 렌트·리스업체의 보유 차량은 전체 렌트업계 차량의 75% 수준인 약 69만 7000여 대이며, 이 중 무공해차는 약 1.7%(1.1만대)를 차지한다. 10개 사는 올해 약 1만여 대의 무공해차를 새로 구매하는 한편, 보유 중인 약 6000여 대의 내연기관차를 처분할 예정이다.
![]() |
▲쏘카는 매년 리스 이용객을 꾸준하게 갱신하면서 쉽게 간편하게 이용 하는 서비스와 함께 전기 수소차량이 수요를 맞추기 위한 발빠른 움직이 고 있다고 회사측은 밝혔다. |
업계는 무공해차 비율을 단계적으로 늘려 2025년 23만대, 2028년 63만대, 2030년까지 99만대(누적)의 무공해차를 구매하여 2030년 100% 전환목표를 달성할 계획이다. 이는 당초 2030년 정부 보급목표의 25.7%를 차지하는 실적으로, 민간기업의 전환 노력이 정부 보급목표를 조기에 초과달성시키는 주요한 추진동력이 될 것임을 의미한다.
'한국형 무공해차 전환 100'은 민간기업이 보유하거나 임차한 차량을 2030년까지 100% 무공해차(전기차·수소차)로 전환할 것을 공개적으로 선언하는 계획(프로젝트) 사업이다. 이 사업은 그린뉴딜 대표과제인 '친환경 미래차 보급'과 수송부문 탄소중립의 차질 없는 이행을 위해 민간기업의 자발적 무공해차 전환을 유도·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참여기업은 무공해차 전환을 공개적으로 선언하고 매년 단계적으로 무공해차 비율을 높여나간다. 환경부는 참여기업에게 전기차·수소차 구매 시 보조금*을 우선 배정하고 사업장에 충전기반시설(인프라)을 설치하는 등 다각도로 지원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4월부터 제조·금융·물류·운수 등 업종별로 연이은 공동선언식을 이어갈 방침이다.
'2030 무공해차 전환 100' 선언식에서 한 장관은 "수송부문 탄소중립의 실현을 위해서는 민간 기업의 자발적인 무공해차 전환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한국형 무공해차 전환100이 민간의 자발적인 무공해차 전환을 활성화하는 민관 협업의 새로운 본보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