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적 환경협력 강화 국내기업 중남미 진출 확대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중남미 국가는 기후위기에 취약한 상황이다. 특히 폐기물 처리, 물부족, 토양오염정화 기술까지도 국내 녹색기술을 원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녹색산업의 미래를 제시하는 KEITI 한국환경산업기술원(원장 최흥진)은 8일 본원에서 아나 마리아 이바네스(Ana MaríaIbáñez) 미주개발은행(IDB) 부총재를 만나 중남미 녹색 기반시설 개발 협력방안을 논의하고 녹색협력 양해각서를 갱신체결한다.
2018년 협약 이후 성과는 가시화됐다.
2021년 콜롬비아 이동형 급속 소규모 정수처리 사업을 비롯해 2023년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보고타시 물 순환모델 수립 사업 등을 함께 추진하며 국내 5개 중소 환경기업 및 기관의 중남미 진출을 지원해 왔다. 당시 참여사는 글로리엔텍, 맑은물연구소, GM하이테크, 건설기술연구원, 헥코리아다.
이번 협약 갱신을 통해 기존에 물 분야에 국한됐던 협력을 탄소중립과 에너지 전환까지 확대함으로써 우리나라의 녹색전환 정책, 기반시설, 기술이 중남미 28개 국가로 확산될 것으로 기대된다.
최흥진 KEITI 원장은 "중남미의 기후변화와 환경오염 문제 해결을 위한 한국형 솔루션을 제공하고, 미주개발은행과 공동으로 타당성조사, 역량강화 등 중남미 녹색전환 협력사업을 더욱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최흥진 KEITI 원장이 2회 한국 다자간 그린협력 포럼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 다. |
KEITI는 2017년부터 5대 다자개발은행과 협약을 맺고 전 세계 12개국에서 16건의 협력사업을 진행하며, 다자개발은행 재원으로 이뤄지는 사업을 국내 기업이 수주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그간 공동 사업발굴은 환경(대기, 물관리, 정수처리, 하수처리, 폐기물 관리 등), 재생에너지(기후변화, 태양광, 수력 등), 탄소저감, 그린수소, 전기차 등이다.
지식· 경험 제공은 그린분야 경험, 기술, 지식을 IDB 회원국과 공유다. 참여 국가는 캄보디아, 미얀마, 라오스, 방글라데시, 몽골, 인도네시아, 필리핀, 튀르키예,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파나마, 아르헨티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