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핑포인트', 대곡역 고양의 심장 역할 추진
대화~지축까지 신 경제축, 안전복지축 선언
경제자유구역·일산테크노밸리, 원당 '이상무'
덕양구 분구 재추진...특례시 2주년 권한 총력
"신청사 이전 차질없다", 시민청사 활용 추진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백석업무빌딩 신청사는 추진됩니다."
고양특례시 승격 2년을 맞아 신년 기자회견을 통해 이동환 시장은 임계점 티핑포인트에 도달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시장은 작심한 듯, "폭발하는 경우가 일어날 것"이라고 "여러 사업들이 추진되는 한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장밋빛 계획만 있을 수 없고 갈등의 현안을 외곽으로 돌렸다. 이 시장은 고양시의 비전 제시와 관련, 두개의 축인 '신경제축, 안전축'을 세우겠다고 선언했다.
경제축은 대화에서 지축까지 지하철을 기반하고, 그 중심으로 경제자유구역, 일산테크노밸리, 1기 신도시 개발 붐으로 특히, GTX-A노선 개통까지 상승효과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여전히 식지 않는 신청사 이전 문제에 대해, 시민참여로 원하는 방향으로 가지만 예산이 훼손되지 않도록 백석업무빌딩을 활용에는 문제가 없다고 했다.
이 시장은 대곡역은 고양시 심장 역할로 복합환승거점화하고, 고양시 재창조 프로젝트는 멈추지 않겠다고 했다.
지축역은 살아있는 박물관, 고양시는 세계적인 역사박물관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2024년 신년기자회견을 통해 시 안팎에서 일어나는 불협화음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피력했다. |
■과학고 등 교육발전특구 인재특구' 제시
5차 국가철도망 계획에 고양시민 입장에서 수요조사에 적극 참여해 광역철도망을 고양시 전체에 골고루 혜택이 가도록 하겠다고 했다. 교외선 개통도 서둘러서 대곡역을 중심으로 의정부까지 교통망을 확충하겠다고 했다.
2023년 1월 기준 108만 인구인 고양시가 향후 10년 이후 130만명으로 늘어나는 창릉신도시의 평창화를 대비한 덕양구를 둘로 분구한다.
이 시장은 "경제발전을 도시의 인전축이 마련돼야 가능하다."며 "이중 안전이 곧 시민복지다."며 강조했다.
특히 핫이슈로 급부상한 1기 신도시 노후화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최근 노후계획도시특별법 국회통과에 대해, 이 시장은 "고양시를 특색있는 새로운 신도시로 마스트플랜을 구축하겠다."고 피력했다. 그외 고양시는 당사국총회인 COP33 유치 계획도 밝혔다.
녹색 도시를 지향하기 위해 '탄소저장고' 확대도 배경도 설명했다. 환경부 지원 사업인 창릉천 정비와 도시숲, 공원 등을 확대해 글로벌 탄소중립클린도시로서 기능을 키우겠다고 밝혔다.
이동환 시장은 외국인학교 설립 협약, 해외 네트워크 구축 등의 성과를 거둬 왔다. 이 시장은 "풀러턴시 등 산학연이 조화를 이루는 세계 산업도시를 롤모델 삼아, 고양시에 과학고, 영재학교와 국제학교 등 교육기관을 유치하고 정부 교육발전특구 사업에도 공모해 고양을 '인재특구'로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다만 이같은 추진에는 예산이 문제다. 시의회를 향했다. 고양시의회는 업무추진비 전액 삭감을 포함 293억 원이 사라진 항목을 비판했다.

이 시장은 "업무추진비 전액삭감은 장기 미집행으로 시장 발목잡기, 시민권리까지 침해한다."면서 임시회에서 다시한번 추진해달라고 요구했다. 또한 "지금은 글로벌 도시 도약 위해서 골든타임"이라며 "고양시의 첫 단추를 다시 끼워서 비상식적인 갈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시청 바깥 외곽에서 잡음이 나오고 있는 신청사 이전 투자심사는 정치적으로 판단하고 접근해서는 안된다."며 "경기도에서 어필하겠다."고 강조했다.
외유성 해외출장에 대한 입장 역시 "나가서 업무협약 추진은 하루 아침에 이뤄진 건은 아니다."며 "시장이 직접 가서 브리핑하지 않으면 누가 들어주겠는가. 중국의 입장을 견제한 차원에서 결국 만장일치로 고양시를 지지한 것으로 바꿔게 됐다."고 정당성을 어필했다.
그러면서 "난양공대와 업무추진도 그냥 이뤄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출장을 관광외유로 접근한 건 하나도 없고, 출국때도 휴일에 갔다."고 했다.
예산삭감중 예비비로 적용되는 건 잘못됐고 다시 재요구하고 바로 잡겠다. 이와 관련 시의결이 있다고 하지만 감액도 규정이 있어야 한다고 반박했다.
![]() |
■제2부시장 정당 해임, 시의회 갈등 입장 밝혀
이정형 제2부시장 직위해제건은 절차로 처리돼 문제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원당재창조 동력 상실과 관련, 시의회에서 4차례 꾸준히 해왔고 동력을 잃었다는 건 아니다.
1기 신도시 재건축의 걸림돌은 안전진단이 걸림돌로 추진이 멈춰있었다. 특별정비구역 지정은 공공이 (행정측면)지원할 수 있도록, 투트랙으로 변행해서 가는 것으로 추진하겠다.이 시장은 다른 지역보다 모범적으로 추진하는 사례가 될 것이라고 했다.
특례시 2년 차인 고양시의 위상문제에 대해서는 이 시장은 현재까지 발굴된 91개 특례 권한 중 25개 이양이 결정됐다.
재정적인 부분에 대해서 우리 시로 넘어온 건 하나도 없어 아쉬움도 피하지 않았다. 시의회와 갈등문제는 일방적으로 한 적은 없고 소통은 혼자가 아닌 상대가 있는 법, 취임초부터 예산편성에 준예산으로 시작됐다.
시장 비서실장 해임 요구와 관련 갈등에 대해 이 부분을 일방적인 문제로 그간 한번도 받아주지 않았고 협의를 하지 않았다. 이 시장은 "지금까지 패싱하지 않았다. 절차를 걸치지 않고 무신한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