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후 핵연료(고준위 핵페기물) 공론화위원회 해체 주장
![]() |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가 지난해 전남 영광군 홍농읍 한빛원자력발전소 앞에서 원전 가동 중지를 촉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이들 활동가들은 원전의 위험성을 강조하 는 십자가 160개를 설치하고 '누더기 원전 그만!'이라는 문구가 적힌 현수막을 들었다. 160은 한빛원전이 가동을 시작한 1985년부터 현재까지 원전 사고·고장 건수다. © 환경데일리 |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 영광(한빛) 핵발전소 3호기에서 수십개의 쇳조각이 발견되고 증기발생기 세관에 결함이 발견돼 충격을 줬다.
이런 상황에서 오히려 한수원은 현재 8% 수준인 관막음 허용률을 18%로 올려달라는 신청을 했다.
또한 사용후핵연료 공론화는 시민사회와 지역주민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명분과 실적만 쌓기위한 형식적인 절차가 반복되고 있다.
급기야, 영광핵발전소안전성확보를위한공동행동과 한빛원전영광군수협대책위는 영광주민 300여명이 4월 2일(목) 서울 광화문에 위치한 원자력안전위원회와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 사무실이 있는 명동 대연각빌딩 앞으로 집결한다고 에너지정의행동은 밝혔다.
이들 주민들은 상경집회를 통해 원자력안전위원회와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에 대한 항의를 통해 주민들의 안전성 확보를 주장할 예정이다.
이번 집회에는 영광핵발전소안전성확보를위한공동행동 회원 50여명, 한빛원전영광군수협대책위 250여명이다.
이 자리에서 ▲한빛3호기 증기발생기내 이물질 제거 후 안전성확인 ▲한빛3·4호기 증기발생기 세관 관막음률 상향조정 신청 따른 반려요구 ▲한빛2호기 사용후핵연료 조밀저장랙 설치 허가 항의 및 취소요구 ▲한빛 3·4호기 운영허가, 5·6호기 건설허가 조건 사항 미점검 항의 ▲사용후핵연료공론화위원회 해체 5개항을 시정과 철회 등 강력하게 요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