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기업 온실감축 실무자 등 100명 참석
KEITI, 수공,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긴밀 협업
환경부, 온실가스감축사업 국가간 협약 3개국
매립가스, 농업부산물 연료화, 정수, 소수력 등
협력 진출 위한, 설비 및 타당성 최대 42억 지원
최영선 사무관 "잠재력 판단되면 적극 돕겠다"
국제사회에 약속된 온실가스 감축량은 3750만 톤이다. 앞으로 5년 내에 제로화해야 할 만큼 시기성을 가질 만큼 조급하다.
환경부는 2025년도 국제감축사업 추진 예산 편성만 67억 원으로 정해졌다.
이와 관련, 환경부, 한국환경공단(K-eco)은 24일 웨스턴 조선호텔에서 25년도 환경분야 국제온실가스감축사업 설명회를 가졌다.
이번 설명회는 공공기관, 관련 기업 온실감축 실무자 등 100명이 참석했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한국수자원공사, 도화엔지니어링, 에스이피협동조합, 에코시안, 유신, 청년기후정책연구그룹 GBSI, KCC, 코오롱인더스트리, 한국순환자원유통지원센터,한국에스지에스, 해양환경공단, 현대건설, 한국농수산재활용사업공제조합, HD현대오일뱅크, KICC 등이 참석했다.
환경부는 그간 국제사회에 온실가스감축사업을 위한 국가간 협약은 총 3건의 지원사업 협약해 진행중이다. 사업분야는 매립가스 발전, 농업부산물 연료화, 정수 시스템, 논물 관리, 소수력 사업이다.
우리 정부와 협약 국가는 우즈베키스탄, 알제리, 가나, 우간다, 캄보디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베트남, 필리핀 9개국이다.
그동안 환경부 산하기관과 그린 ODA사업에 리딩을 해준 K-eco 한국환경공단과 KEITI 한국환경산업기술원, K-water 한국수자원공사,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역시 긴밀하게 관련 중소기업과 협업을 해왔다.
대표 사업을 보면, 우즈벡 마이돈톨 매립가스 발전사업은 2040년까지, 베트남 연료대체 바이오매스 보일러 사업은 36년까지, 카자흐스탄 카라사이 매립가스 발전은 2043년까지 턴키방식으로 추진된다.
환경공단은 그간 사업추진과정에서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한 마련된 지침도 명확하게 선을 그었다.
2024년까지는 감축 실적 부족 시 국제 감축실적 외 최대 50% 범위 내에서만 보상하도록 했다. 이런 문제에 대해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 개선해 100% 보상 조정을 개정해 참여도의 만족도를 끌어올렸다.
특히, 정상 방식도 효율성을 개선하도록 위탁 전담기관 일괄 정산에서 각 사업별로 개별 정산을 변환시켰다.
지금까지 환경부와 외교부는 기본협정 및 가서명 참여 국가는 UAE, 모로코, 폐루, 라오스, 키르기스스탄을 체결된 상태다.
파리협정 6조 이행 위해 약정에 서명한 국가는 카자흐스탄, 말레이시아, 파나마 3개국이다.
환경공단은 이번 설명회에서 협력국 진출을 돕도록 설비설치 지원 및 타당성 조사 지원도 지침을 정해졌다.
지원분야는 매립가스 소각발전, 매립지 공기주입, 바이오디젤, 팜오일 폐기물, 폐수 처리, 산업폐기물, 소수력 발전, 수력발전, 퇴비화, 분뇨처리, 조력발전, 바이오가스, 산림부산물, 복합 신재생에너지(수상 태양광 등)으로 광범위하다.
지원규모는 모든 사업은 2건~5건 이내로 지원비율을 총사업비 중 투자비 최대 80%, 1건 당 최대 42억 원까지 가능하다. 공모 마감은 4월 18일 17시까지다. 선정결과는 5월말까지 업무협약체결은 6월 둘째주에 이뤄질 예정이다.
한국환경공단 글로벌협력처 하정원 처장은 "2025년도 국내 우수한 온실가스 감축 사업에 참여할 기업들이 많은 공모 지원을 바란다."며 "해외진출을 위해 높은 점수는 한국형 환경건전성 기준에 맞춰 국제 정합성 확보, 감축활동 신뢰기반, 상대국 환경 지속가능성 보장 3가지를 가장 높게 본다."고 말했다.
하 처장은 "2030년까지 3750만 톤을 감축해야 되는데 5년밖에 안 남았다."며 "올해 공모 사업은 감축 효과가 큰 사업을 발굴하는 게 주 목표"라고 거듭 강조했다.
환경부 국제개발협력 최영선 사무관은 "올해는 타당성 조사 비용을 증액했다."고 설명회 배경을 소개했다.
최 사무관은 "정부 차원에서 큰 사업을 발굴할 제도 지원과 동시에 중요한 실질적인 감축이 이전되기 위해서 먼저 사업 유치국 기본 인프라나 역량들이 필요해 한국형 레디니스(Readiness)프로그램을 기획하고 발전하도록 지원하겠다."고 설명했다.
또 "온실가스감축은 정부 대 정부의 수요가 있는 만큼 사업자 수요와 잠재력이 있다고 판단이 되면 정부 차원에서 협정이든 MOU든 특정분야에 국한하지 않고 온실가스감축 기술력을 보급하는데 돕겠다."고 말했다.
온실가스감축에 참여하는 세계은행(World Bank), 녹색기후기금(GCF), 국립환경과학원도 한 축으로 참여하고 있다. [환경데일리 = 김영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