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거버넌스 다양성 연구 결과 발표
여성환경연대, 20일 기후 거버넌스 토론
지자체 거버넌스 운영 분석 및 정책 논의
기후시민의회 국내외 사례 국내 적용 모색
2기 탄소녹색성장위 불평등 구조로 짜여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와 기후 거버넌스 토론회가 20일 14시부터 청년문화공간JU 1층 카페(서울 마포 월드컵북로2길)에서 열린다.
발제 리스트를 보면, 젠더 및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관점으로 해외 기후 거버넌스 사례(채혜원 이화여대 행정학과 BK21연구단 연구원), 한국 기후 거버넌스 젠더·다양성 현황과 제도적 과제(황은정 에코페미니즘연구센터 달과나무 연구위원), 지방정부의 기후 거버넌스 실태와 개선 과제(이정필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장)를 발표한다.
토론 좌장은 이안소영 여성환경연대 상임대표의 진행으로, 김신효정 명지대 교수, 김주온 녹색전환연구소 연구원, 윤세종 플랜1.5 변호사, 김은정 기후위기비상행동 공동운영위원장이 자리한다.
한국 정부는 2026년 2월까지 2031~49년 국가 온실가스 장기감축경로 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유엔기후변화협약에 따라 11월에 2035년 국가 온실가스감축목표(NDC) 목표를 제출해야 한다.
하지만 올해 구성된 2기 탄소중립녹색성장위는 여성, 청년, 지역, 노동자, 농민 등 기후 당사자의 목소리를 반영할 수 없는 불평등한 구조로 짜여졌다.
여성환경연대는 첫 단추부터 잘못 끼어졌다고 주장했다.
9월에 발표된 정부의 NDC안은 급격한 기후위기를 해결하기엔 안일하고 무책임하고 공격했다.
특히 근본적인 해결을 요구하는 시민사회 및 기후취약계층의 참여와 역할은 효과적인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더 절실한 상황으로 성평등하고 정의로운 전환을 통해 기후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기후위기에 취약한 사람들의 목소리가 반영의 구조 구축이 우선돼야한다고 토론 개회 배경을 설명했다.
여성환경연대는 한국의 기후 거버넌스 개편과 기후시민의회 구성 논의를 촉발시키고 정부의 2035 NDC 목표 상향에 기여하고자, 거버넌스 다양성 연구의 성과를 공유하고 다양성과 형평성, 포용성을 고려한 효과적 기후 거버넌스 방안 모색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환경데일리 = 유혜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