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와 생태계 살인 영풍석포제련소

김영민 기자 / 2024-10-26 16:46:00
22대 국회환노위 소속 여야 의원 한목소리
영풍석포제련소 폐쇄 기한 2025년 6월까지 
국회, 환경부 통합허가권 제도 댓가 지켜야
영풍 고문, 본인 오너아냐, 주식 자식 양도
많은 노동자 목숨 잃은 수 장 고문 "잘몰라"
3개 공장 이전 환경부, 경북도와 논의 해야
60만톤 유해 잔재물 처리 못하면 조업중단
영풍석포제련소의 실질적인 오너인 장형진 고문이 국회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장에 나서 선서하고 있다.

22대 국정감사장에 나와야 할 근로자를 살인하게 하고 낙동상 생태계를 망친 영풍석포제련소가 최대 위기로 내몰렸다. 

지난 50년간 운영해온 영풍석포제련소는 환경적인 시설을 제대로 갖추거나 가동에 소홀해 막대한 양의 독극물을 반복적으로 방류해왔다.

특히 작업근로자를 사망으로 내모는 형태에 대한 뾰족한 대비도 부실한 채 수습하기에 급급했다.

22대 국회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임이자 의원은 영풍석표제련소 이전 등을 추진하겠다고 발언했다.

대구환경운동연합은 영풍그룹 계열사 중 하나인 영풍석포제련소 반환경적인 기업을 규탄 집회를 해왔다.

국감 증인 채택된 장본인은 출석한 자리에서 임 의원은 영풍석포 제련소 실질적인 주인인 장형진 고문에 질의하자 "어떤 라인이나 속한 곳이 없고 오너가 아니라"고 부인했다.

장 고문은 "(현재 석포제련소 총 3개 공장 이전)정부, 환경부, 경북도와 논의를 해야 한다."고 즉답을 피했다.

더불어민주당 김태선 의원은 "장 고문이 일본 출장간 배경을 묻자, "50년을 재직해온 회사 존립문제 때문에 간 것"이라고 해명했다.

김태선 의원은 "국민들에게 사과한 앞뒤가 맞지 않지 않고 많은 노동자가 목숨을 잃을 건 모르냐"고 사망자수에 대해 장 고문은 "잘모른다."고 했다.

영풍석포제련소 제조공정과정에서 나온 유해한 독성 물질 슬러지를 몰라 버리고 들통나기도 했다.

장 고문은 "영풍 대표 구속된 부분은 미안하다."며 김 의원은 다시 송구하고 진심어린 사죄와 무릎 끓고 용서를 구하라고 요구했다.

장 고문은 정부안에 따르겠다고 응했다.

국민의힘 김위상 의원은 증인인 장형진 고문에게 반성이 전혀 없어 보인다고 다시 불렀다.

오염물질 배출 불법과 사망자 발생 관련, 영풍석포제련소는 경북도를 상대로 행정처분에 반박해 소송중이다. 2심에서 패소하고도 대법원에도 다시 상고한 상태다.

김 의원은 "3년 내 오염원 배출을 법적기준치를 맞춘다는 약속으로 통합허가제로 적용한 사업장"이라며 습관적으로 불법을 자행하고 있다고 꾸짖었다.

김완섭 환경부 장관은 "모든 조치를 하겠다고 공장폐쇄 등까지도 있어 의논하겠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박홍배 의원은 금감원 주식현황을 보여주며, "본인 주식은 딸 아들(주식 52% 소유) 등에게 주식증여하고 있다."며 거짓말한 점 단호하게 고발조치해달라고 위원장에게 요청했다.

경상남북도민들의 식수원 역할을 하는 낙동강 상류에 영풍석포제련소가 가동중이다.

임이자 의원은 "가족일가 보유 주식은 있어 위증죄로 고발하겠다."고 몰아세웠다.

이어서 장형진 고문은 "가족은 가족이라며 의사결정권은 자신과 상관없다."는 뜻으로 다시 소명했다.

임이자 의원은 "60만톤 유해물질 잔재물 처리 기한은 2025년 6월까지"라면서 "그때까지 처리히지 못하면 조업중단해야 한다."고 강하게 밀어붙었다.

제련소 1,2, 3 공장에서 배출되는 오염토 정화 이행률, 지하수 오염까지 처리되지 못하면 조업중단은 물론 폐쇄조치를 할 수 밖에 없다고 거듭 시정요구했다. 

환경부 장차관이 참석해 석포제련소 입장을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의원은 "석포제련소 지향적인 방향으로 진행해달라"고 강조했다.

마지막 발언한 장형진 고문은 지금까지 4000억 원, 앞으로 4000억 원 가깝게 투자했고 앞으로 개선하겠다고 약속하고 국감장으로 빠져나갔다. [환경데일리 = 김영민 기자]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영민 기자

김영민 기자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