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클린 버스쉘터, 초미세먼지 위협으로부터 보호
LH공사 스마트시티 고양 향동지구내 4곳 시범적용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버스를 기다리는 동안 미세먼지 등 도로의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시범사업으로 착수된다.
![]() |
고양시가 지난 20일 킨텍스에서 열린 '2018 스마트시티 서비스 및 창업 경진대회'에서 대기오염 및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스마트 에어클린 버스쉘터 시스템'을 선보여 대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월드 스마트시티 위크 2018(WSCW)'의 일환으로 열린 이번 대회는 국토교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전안전부가 공동 주최했으며 고양시는 '스마트시티 서비스 신규 아이디어'부문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스마트 에어클린 버스쉘터 시스템'은 버스정류장을 이용하는 시민들이 고농도 미세먼지에 노출돼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 착안됐다. 기존 단순 승객 대기 위주의 버스정류장 개념에서 벗어나 차량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로부터 시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 공간 개념을 추가한 것. 에어커튼을 설치함으로써 버스정류장 외부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에는 공기정화장치를 통해 공기질을 개선하는 시스템이다.
이 같은 '스마트 에어클린 버스쉘터 시스템'은 고양시의 고도화된 IoT 인프라를 활용해 중앙관제센터와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고 자동 제어도 할 수 있다.
스마트 클린 버스쉘터는 스마트시티 선도지구 중 고양 향동지구내 공동주택 밀집지역 4곳에 시범적용된다. LH는 이후 태양광 발전 설비를 도입하는 등 고도화하고 적정수준으로 단가를 낮춘다.
김수일 LH 스마트도시개발처장은 스마트 클린 버스쉘터 보급 확산 전망과 관련 "스마트 클린 버스쉘터는 시민 안전 확보와 중소기업의 스마트 신기술을 활용하는 테스트베드로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세종 5-1 생활권 국가시범도시 등 LH에서 추진 중인 스마트시티로 확대 적용해 시민의 체감도가 높은 스마트시티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특히 미세먼지 저감 효과뿐만 아니라 지진이나 홍수 등 대형 재난 발생 시 최단 거리의 대피 장소를 안내하고 폭염이나 혹한 시 냉난방을 자동으로 구동한다. 아울러 버스정류장의 데이터를 수집해 빅데이터 분석 및 지능형 시스템 구축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다만 기존 버스정류장에 구조형태로는 이런 기능을 접목할 수 없다. 버스가 진입하는 차선쪽은 유리막으로 막혀 있어야 가능하고 겨울철 더운 바람을 불어넣어야 하는 과제도 남겨졌다.
기획을 총괄 지휘한 김수오 과장은 "에어클린 버스쉘터가 스마트도시 건설의 디딤돌 중 하나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이와 같은 다양한 리빙랩(Living Lab) 사업을 통해 시민 삶의 질 개선에 긍정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