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대기업, TNFD 왜 중요할까요?

김영민 기자 / 2024-12-11 16:57:05
ESG 경영 중요도, 시대적 흐름에 맞닿아
자연 자본 보호 위한 법적 규제 정책 강화
TNFD, 생물다양성까지 포함 더 넓은 영향
ESG경영 실천 사회봉사, 플로깅 의무 아냐

인류세에 따른 마지막 코드명은 생태적서비스다. 즉 공기, 물, 흙 그리고 비생물종까지 균형을 유지할 수 있어야 인류도 생존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그래서 'TNFD(Taskforce on Natur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가 빠르게 중요분포에서 최상위로 올라서고 있다.

이는 모든 기업과 시중금융이 자연과 생물다양성과 관련된 위험과 기회를 이해하고 이를 공시하도록 돕기 위해 설립된 글로벌 이니셔티브를 주목하고 있다. 환경과 생물다양성을 고려한 지속가능한 경제를 지원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앞서고 있다. 단순히 ESG경영 실천으로 사회봉사, 플로깅 정도 한다고 변화나 의무를 다하는 것은 아니다.

유럽은 생물다양성에 관한 정보 공시에 대한 요구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TNFD는 기후 변화와 자연 자본 손실을 막는다 의미가 두고 있다. 기업 활동이 자연 생태계를 파괴하거나 자연 자원을 소모하면 장기적으로 경제적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로 무분별한 삼림 벌채는 인근 농업, 수자원, 지역 경제에 영향을 미친다.

투자자와 이해관계자들의 요구도 크다.

투자자와 소비자는 기업이 자연 자본과 생태계 서비스를 어떻게 관리하는지 더 많이 알려줘야 한다. ESG 경영 중요도는 시대적 흐름에 맞닿아 있다.

그래서 규제 변화는 많은 국가와 지역에서 자연 자본을 보호하기 위한 법적 규제와 정책이 강화되고 있다.

TNFD의 작동 원리를 보면, 기업이 자연 관련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석, 보고할 수 있도록 LEAP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그럼 'TNFD'와 'TCFD'의 차이는 어떻게 다를까.

TCFD(Task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는 기후 변화에 중점을 둔 반면, TNFD는 자연과 생물다양성까지 포함해 더 넓은 환경적 영향을 다룬다.

한 단계 한 차원 다른 시각으로 실천하는 TNFD의 주요 목표는 이렇다.

먼저 자연 관련 위험과 기회 관리해야 한다. 기업이 자연 관련 재무 위험리스크를  봐야 한다. 즉 기후 변화, 생물다양성 감소에 민감도를 체크다. 

이어서 표준화된 공시 프레임워크 개발이다. 기업이 자연과 관련된 재무적 정보를 체계적으로 공시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해야 한다. 

의사결정 지원도 꼭 뒷받침돼야 한다. 자연 자본에 의존하거나 영향을 미치는 기업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도록 해야 기업생존을 이어갈 수 있다.

ESG경영 자문 전문기업 에코나인(대표 서욱)은 기업이 자연 관련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석, 보고하도록 LEAP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4가지를  보면 사업활동이 자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생태계와 기업활동간의 의존성과 영향 측정, 이런한 의존성과 영향이 사업과 재무 성과에 미친 영향평가, 마지막으로 공시 및 의사결정에 사용할 데이터와 보고서를 작성함으로 지속가능한 기업 경영의 연속성을 얻도록 돕는데 있다. [환경데일리 = 김영민 기자]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영민 기자

김영민 기자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