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서울대 삼성컨벤션센터 국제 토론
철새 전문연구기관 성과 국제 협력 모색
국민과 함께 생물다양성 과학 기반 거듭
20년 동안 잊었던 25종 희귀 철새 발견
"철새 보전 20년 발자취, 미래로 잇다" 20년 동안 미발견된 조류 25종을 찾아내는 성과를 냈다.
국립공원연구원 조류연구센터의 끈질 긴 집념으로 한반도의 철새 이동경로와 생태 파악과 개체에 식별용 가락지를 부착 추적하는 연구 기법에 노력을 눈부셨다.
한반도 환경·생태계 조사 등의 연구에 자발적 참여해 전문가와 협업 활동에 주력했다고 평가를 받아왔다.
국립공원연구원 조류연구센터 설립 20주년을 맞았다.
기후에너지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이사장 주대영)은 11일 서울대 삼성컨벤션센터에서 기념식 및 국제철새 토론회를 개최한다.
조류연구센터는 2005년 전남 신안군 홍도에 세웠다. 센터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한 흑산도를 중심으로 △철새 개체군 장기 관측 △조류 질병 연구 등 연구와 보전 활동을 수행해 왔다.
20년간 국내 미기록종 조류 25종을 발견하고 10만여 마리의 철새에게 가락지를 부착 등 국내 생물다양성을 파악하고 주요 이동 경로 성과를 얻기도 했다.
국내 최초로 조류 가락지부착 시민과학자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우리나라 조류 연구 저변 확대, 생태계 보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해 왔다.
이번 행사는 '조류연구 20년, 철새이동 연구 아시아 네트워크 강화' 주제로 국내외 전문가들이 참석한다.
이 자리는 기조강연, 국제 철새 토론에서 몽골, 일본 등 해외 연구자와 국내 학계, 과학자 등 약 15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국제 철새 토론회는 '산림 조류 감소와 공존, 철새이동 연구 국제 네트워크의 중요성' 주제로 아시아 철새 연구자들의 발표가 이어진다.
기후위기 시대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국제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 이날 행사장에 희귀 조류 사진과 원화 전시, 가락지 부착 체험, 인공지능을 통한 새소리 인식 앱 체험 등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다채로운 전시관이 운영된다.
주대영 이사장은 "조류 한 마리에 달린 가락지 하나가 수천 킬로미터를 연결하듯, 20주년 행사는 그간의 축적된 성과와 협력의 의미를 되돌아보는 소중한 시간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국민과 함께 생물다양성을 지키는 과학 기반 생태계 관리기관으로서, 지속가능한 보전정책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환경데일리 = 고용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