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GB 모바일 D램 탑재 스마트폰 모델에 대량 공급 계획
배터리 수명 연장, 초고속 초소형 크기 동시 경쟁 우위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SK하이닉스가 축적된 노하우와 시장 트렌드에 발빠르게 추진, 시장을 주도하면서 스마트폰 성능을 한층 끌어올릴 수 있는 모바일 D램의 기술력을 다시 세웠다.
SK하이닉스(대표 박성욱)가 세계 최대 용량인 8GB(기가바이트) LPDDR4X(Low Power DDR4X) 모바일 D램을 출시했다.
이 제품은 16Gb(기가비트) 칩을 기반으로, 두 개의 8Gb 단품을 연결한 듀얼채널(Dual Channel) 16Gb 칩을 4단으로 쌓았다.
SK하이닉스는 곧 출시 예정인 8GB 모바일 D램 탑재 스마트폰 모델들에 이 제품을 대량 공급할 계획이다.
LPDDR4X는 기존 LPDDR4 대비 전력효율을 20% 가량 개선한 최저전력 규격인데, 8GB는 LPDDR4X 규격 기준 세계 최대 용량이다.
이 8GB LPDDR4X는 D램의 데이터입출력(I/O) 동작전압을 기존 LPDDR4의 1.1V 대비 0.6V로 낮춰 전체적인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저전력을 유지하면서도 64개의 데이터입출력구(I/O)를 통해 초당 34.1GB의 데이터를 처리한다. 또한, 이 제품은 기존 8GB LPDDR4 패키지 크기 대비 30% 이상이 줄었고(12mmX12.7mm), 두께도 1mm 이하로 같은 용량 제품 중 가장 작은 면적을 차지한다.
이에 따라 모바일 생태계에서 민감한 요소인 배터리 수명 연장 효과, 초고속, 작은 크기를 동시에 갖춰 모바일 기기에서 탑재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며 사용자 편의성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SK하이닉스 DRAM제품본부 오종훈 전무는 "현존하는 모바일 D램 중 최고 성능의 제품을 고객에 공급함으로써, 모바일 기기 사용자 경험을 최적으로 구현할 것"이라며, "향후 모바일 뿐만 아니라 울트라북,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로 제품을 확대 전개하겠다."고 계획을 밝혔다.
한편, 시장조사기관 IHS 마킷(IHS Markit)은 자체분석을 통해 하이엔드 스마트폰의 기기당 모바일 D램 평균 탑재용량은 올해 3.5GB에서 2020년 6.9GB로 연평균 25% 이상의 성장을 가능성을 한층 높아졌다고 밝혔다.
이로써 하이엔드 스마트폰 시장에서 8GB 모바일 D램을 탑재하는 수요는 올해를 시작으로 2020년에 63%로 최대 SK하이닉스 D램이 탑재될 가운데도 높다는 기대감도 확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