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처리, 토양복원, 폐기물처리, 대기개선 등 우수한 환경기술 제품 교류
국내 기업 10여 개 업체와 중국 바이어 연계 환경산업 수출상담회 열어
[환경데일리 이은수 기자] 서울시와 중국 베이징시의 통합교류기구인 서울·베이징 통합위원회가 '환경팀'을 신설하고 양 도시 간 협력을 본격화한다.
서울·베이징 통합위원회는 분야별로 양 도시 관련 부서가 팀을 이뤄 교류협력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통합교류기구로, 2013년 서울-베이징 자매도시 20주년을 기념해 설립됐다.
중국 베이징을 공식 방문 중인 박원순 시장은 4일(수) 왕안순 베이징 시장을 면담하고 '서울-베이징 통합위원회 2차 전체회의'(베이징 리버사이드호텔)에서 '환경팀' 신설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두 시장의 만남은 이번이 4번째, 올 8월 박 시장이 메르스로 인해 침체된 서울관광을 되살리기 위해 베이징 등 중국 3개 도시를 방문한 이후 2개월만의 만남이다.
환경팀은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와 베이징시 환경보호국이 중심이 돼 팀을 이루게 되며, 양 도시가 공동으로 직면한 환경문제와 관련해 환경보호정책, 기술, 정보, 인적교류를 강화하고 환경보호 및 저탄소 분야 협력을 공동으로 해나가게 된다.
![]() |
▲ © 환경데일리 |
이로써 서울·베이징 통합위원회는 경제, 문화, 교육 3개 팀에서 총 4개 팀으로 확대된다. 통합위원회는 그동안투자유치 설명회, 기업 유치 상담회시 상호 지원(경제), 3년 연속 예술가 교류 프로젝트 추진, 양 도시 미디어 자원 활용 도시이미지 홍보(문화), 대표 청소년 축제 상호 참가 교류(교육) 등을 공동 추진했다.
양해각서 체결식에 앞서 양 도시는 각 팀별로 향후 교류협력 강화방안을 제안한다. 예컨대, 경제팀은 창업, 문화팀은 관광 분야에서 공동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경제팀은 서울-베이징간 창업 교류 활성화 및 IT 기술을 활용한 도시문제 공동해결을 위한 협력방안을 제안할 계획이다.
문화팀은 양도시 관광 교류 활성화 방안을 비롯해 문화유산의 보존 관리 및 활용을 위해 함께 노력할 것을, 교육팀은 청소년 단체 교류 활성화를 제안한다.
시는 이날 같은 장소에서 서울-베이징 대기질 개선 포럼을 개최하고 대기질 개선을 위해 베이징시와 본격적으로 논의에 들어갔다.
대기질 개선 포럼은 2014년 4월 박 시장이 베이징 방문시 양 도시 시장 간 작성한 공동합의문에 의거, 11월 베이징시에서 개최, 2016년부터는 양 도시 수도권을 포함한 국내, 중국, 몽골, 일본 도시 등이 참여하는 보다 폭넓은 국제 네트워크로 발전시켜나갈 계획이다.
이날 포럼 현장에서 수처리, 토양복원, 폐기물처리, 대기개선 등 우수한 환경기술과 제품을 보유한 우리 기업 10여 개 업체와 중국 바이어를 연계해주는 '환경산업 수출상담회'도 열렸다.
![]() |
▲ © 환경데일리 |
박 시장은 축사에서 "양 도시는 호흡공동체"임을 강조하며 "연구원, 민간기업의 우수한 기술을 바탕으로 한 양 도시의 대기오염 저감 기술을 공동으로 연구한다면 시너지 효과를 통해 우수한 기술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중국 공산당 간부 교육기관으로써 핵심간부를 발굴, 양성하고 재교육하는 중앙당교에서 연수생 60여 명을 대상으로 '서울형 거버넌스와 도시혁신'을 주제로 특강했다.
앞서 베이징복장학원 창신원 실버홀에서 열리는 서울-베이징 예술가교류 공동전시회에 참석 양 도시의 7개 팀이 선보이는 미디어아트 등 예술작품을 관람했다.
한편 이날 메리어트시티월 호텔에서는 서울시가 중국 투자자의 관심이 지속되고 있는 문화콘텐츠, ICT, 바이오·의료 등 분야의 서울의 유망기업 10개 사와 50여 개 중국 관심투자사와의 1:1 투자 상담을 지원하는 '2015 서울시-베이징 투자유치설명회'가 열었다.
서울시 국제교류담당 관계자는 "반응을 폭발적, 중국 바이어들은 한국 녹색기업 녹색기술에 대해 전적으로 신뢰하기 때문에 협약과 기술이전 등 수출길을 빠르게 열 수 있을 것"이라는 현지 분위기를 전했다.
시는 2만여 개 첨단기업이 몰려있고 매년 6000여 신규기업이 창업하는 중국 최고·최대 국가산업지구인 중관촌 과학기술단지 관리위원회와 상호협력 협약과 함께 양 도시 첨단기술 기업간 기술교류 및 프로젝트 협력 지원,상호 협력기업 발굴, G밸리와의 협력 지원 등을 공동 추진하기로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