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 확정판결 따른 최종처분
철저 환경오염·안전 대비 후 재가동
공장 멈춰도 폐수무방류시스템 계속 가동
정지 기간 중 하루 500톤 오염 지하수 처리
낙동강 최상류에 위치한 영풍 석포제련소가 대법원 최종 판결로 1개월 공장을 멈추게 됐다. 그동안 막대한 폐수를 무단 불법 방류, 유해성 중금속 슬러지까지 임의대로 몰래 버리다가 들통나기도 한 사실상 무법 공장으로 악명을 떨쳤다. 특히 주민 건강에 대한 역학조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어느 정도 위해를 끼쳤는지 정밀 조사가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낙동강 바닥에 쌓인 여러 형태의 중금속 함유량, 수생태계 파괴 훼손에 대한 전수조사조차 흐지부지 뒷걸음질만 했다. 이런 악재속에 가장 곤혹스러운 기관인 관리감독기관인 낙동강지방환경청이다. 지금까지 환경감시단, 특사경, 지역시민사회단체까지 석포제련소에 대한 영구 폐쇄요구를 지속적으로 펴왔다.
이런 가운데 환경부와 경상북도는 ㈜영풍 석포제련소에 대해 2025년 2월 26일부터 4월 24일까지 1개월 30일간 조업 정지 행정처분을 내린 솜방망이만 내려졌다.
이번 처분은 2019년 4월 환경부 중앙기동단속반의 물환경보전법 위반적발에 따라, 2020년 12월 경상북도가 내린 조업정지 처분에 대해 제련소측이 취소소송을 제기했고, 올해 10월 31일 대법원이 정부 측의 승소를 확정 판결한 데 따른 최종적 조치다.
환경부와 경북도는 조업정지 중 환경오염과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것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해 조업정지의 시기와 방법을 결정했다.
먼저, 겨울철에 조업이 중단될 경우 동파사고 등으로 인해 2차 환경오염이나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해 혹한기를 피했다.
현재 전량 공정용수로 이용하고 있는 오염 지하수와 빗물(초기 우수)을 조업정지 기간 중에 투입할 수 없는 점을 감안, 그 발생이 최소화되는 봄철를 기해 조업정지를 하는 것이 수질오염 방지에 최적이라고 판단했다.
이번 조업정지 기간 중에 아연정광을 생산공정에 투입해 아연괴를 생산하는 등의 조업활동이 엄격히 금지된다. 다만, 제품생산과 관계없는 환경관리나 안전관리 활동은 허용된다.
특히 정지 기간 중에도 하루에 약 500톤 내외의 오염 지하수를 처리해야하고, 비가 내릴 때 빗물(초기 우수)도 처리해야 함에 따라, 오염 지하수와 빗물의 적절한 처리방안을 제련소 측에 요구했다.
조업정지 기간 중에도 폐수무방류시스템(ZLD, Zero Liquid Discharge)이 계속 가동돼 오염지하수와 빗물을 처리하게 된다.
폐수무방류시스템은 공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해 폐수를 증발시킨 후 증기를 응축해 다시 물로 만들어 공정에 재투입함으로써 사업장 바깥으로의 폐수 배출을 '0'으로 만드는 공정이다. 다만, 조업정지 기간에 처리수를 공정으로 재투입할 수 없으므로 처리수는 낙동강으로 방류하게 된다.

대구환경청의 조사 결과 방류시스템 처리수의 수질은 증류수에 가까워 '지하수법'에 따른 생활용수기준과 '물환경보전법'에 따른 청정지역 방류수수질기준 등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지 기간 중에 방류된 처리수의 수질은 지속 감시를 받으며,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에 낙동강에 방류가 금지된다.
환경부와 경북도는 방류시스템을 통한 지하수 및 빗물의 처리방안을 포함해 환경·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상세한 조업정지 실시계획을 2025년 1월 15일까지 환경부와 경상북도에 제출할 것을 제련소에 요구했다.
환경부, 경상북도, 제련소는 협의체를 운영해 어떠한 환경오염이나 안전사고 없이 조업정지가 잘 이행될 수 있도록 관리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환경데일리 = 김영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