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압 송전탑 철거 원전 폐쇄 요구 결의
끝나지 않은 밀양 투쟁 각계 발언 예정.
송전탑 철거와 탈핵 요구 결의대회 개최
밀양, 청도, 봉화, 홍천 등 지역민 참가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원전 추가 건설
[환경데일리 이은주 기자]"기후정의 역행 핵폭주 막아내요."
밀양 송전탑 폭력 진압에 책임이 있는 그 누구도 처벌받지 않은 채 10년이 흘렀다.
한국전력이 무분별하게 지급한 돈으로 마을공동체는 파괴됐다. 시민사회단체는 그러나 흔적은 지울수 없고 송전탑 완공 이후에도 송전탑을 반대하며 살아가는 주민들이 있다고 전했다.
특히 밀양 주민들은 신고리 원전에서 생산된 전기를 수도권으로 보내기 위해 세워진 765kV 초고압 송전탑에 맞서 19년간 투쟁을 멈추지 않고 있다.

윤 정부는 기후위기 대응을 명목으로 원전 진흥 정책을 기반으로 원전 인근 주민 동의없는 노후 원전 수명연장을 전환했다.
또한 신규 원전 추가 건설, 고준위 핵폐기장 추가 건설을 강행중이다. 이슈는 곧 발표할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24-38년) 초안이다. 여기에 담긴 내용은 신규 원전 4기~6기 추가 건설 예측이 흘러나오고 있다.
최대 쟁점은 원전에서 사용후 핵폐기물 처분량과 고도의 처리비용(보관비용)이다. 시민사회단체는 '낮은 경제성과 10년 이상의 건설기간 중 막대한 양의 탄소배출이다.
세계 주요 곳곳은 극한 기후위기의 현상이 쏟아지고 사람들을 위험하고 있어 우리나라도 그 공간에 포함돼 있다는 주장이다.

초고압 송전탑 철거는 커녕 정부의 핵폭주 정책은 밀양 송전탑 건설이 보여준 국가폭력은 지울 수 없다며 반성 없이 발전소와 송전선로 주민들의 희생을 삼아선 안된다고 했다.
초고압 송전탑 경과지 주민들과 원전 지역 주민들의 고통을 담보로 한 전기는 여전히 눈물을 타고 흐른다고 꼬집었다.
시민사회단체들은 6월 8일(토) 밀양 행정대집행 10주년을 맞아 전국 15개 지역에서 '밀양 희망버스'를 다시 탈 수 밖에 없다고 했다.
이번 결의대회는 경남 밀양군, 경북 청도군, 봉화군, 강원 홍천 등 초고압 송전탑 경과지 주민들이 참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