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량 해결, 유엔세계식량계획 새천년 개발 목표

이은수

news@ecoday.kr | 2015-10-16 13:43:38

WFP, '2015년서 2030년까지, 17가지 목표 세우다' 추진
100여 개국 국가 수반 UN 지속 가능 개발 계획 정상회담
경제, 사회, 환경적 의제 고려 지구의 빈곤 끝내기 위해 설계

[환경데일리 이은수 기자] 유엔세계식량계획은 새천년 개발 목표(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을 세웠다.

MDG란 2000년, 새천년을 맞아 설립된 계획으로, 세계의 빈곤 인구를 돕기 위해 국가들과 개발기구들이 협의한 국제적인 개발 계획을 지칭이다. MDG에서 수립한 목표들은 기아 감소, 성평등 촉진, 아이를 가진 여성들의 건강 증진을 가장 우선시하고 있다. MDG 수립으로 인해 빈곤과 기아를 감소하는 데 있어 뛰어난 성과를 이룰 수 있었는다. (http://goo.gl/kjwUoP)  

이 MDG가 올해 2015년에 종결되면서, MDG 에서 이룬 성과를 기반으로 또 다른 15년 동안 미래를 이어 나가기 위해 수립될 계획이 바로 SDG이다. SDG는 2030년까지 빈곤을 끝내는 것을 목표로, MDG로 인해 시작된 움직임을 더욱 발전시켜, 종료시키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지난 9월 25일부터 27일까지, 100여 개국의 국가 수반들이 모여 UN 지속 가능 개발 계획 정상회담에 참여해 새로운 안건에 대해 논의했다. SDG에서 세운 아래 17개 목표는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의제 또한 고려해 지구의 빈곤을 끝내기 위해 설계됐다. 

지속 가능 개발 계획 (SDG)의 17가지 목표중 '제로 헝거', 기아를 퇴치를 가장 비중있게 세웠다.


제로 헝거(Zero Hunger)는 기아를 퇴치하고, 식량 안정성을 보장하고, 영양을 개선하고, 지속 가능한 농업을 장려하는 것을 목표다. 제로 헝거를 달성하기 위해, SDG에서는 세부 목표들을 지정하고 있다. 

먼저 2030년까지 기아를 끝내고 영유아와 같이 취약계층에 속하는 사람들을 포함한 모든 이가 일년 내내 안전하고, 영양가 있고, 충분한 음식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한다. 

두 번째, 2030년까지 누구도 영양실조를 겪지 않도록 한다. 2025년까지 5세 이하 영유아들의 급성 영양실조를 감소하고 사춘기 소녀들, 임산부, 수유부 및 노약자들의 영양을 강화한다. 

2030년까지 농업 생산성을 두 배로 늘린다. 또한 토지에 대한 안전하고 평등한 접근권 및 그 외 지식, 재정 서비스, 시장 및 부가가치 기회 및 농장 외 고용 등을 장려함으로써 여성 농부, 토착민들, 가족이 모두 농업에 종사하는 자, 목축업자, 어부 등의 직업을 가진 소규모 식량 제공자들의 수입을 두 배로 증가시킨다. 

네 번째, 2030년까지 식량 생산 체계가 지속 가능하도록 보강하고 피해 대비 농업 회복 전략을 실행 생산성을 증진하고, 생태계를 보전하고, 기후 변화, 가뭄, 홍수 등 자연재해에 대비하며 토양의 질을 단계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섯 번 째는 2020년까지 씨앗, 재배 식물, 가축 및 야생 동물의 유전적 다양성을 보존한다. 

이어, 국제 협력을 강화해 농촌 기간 사업, 농업 연구, 확장 서비스, 기술 발전 및 식물/가축 유전자 은행 등의 사업에 투자를 늘려 저개발국가의 농업 생산성을 증진한다. 

일곱 번 째는 세계 농산물 시장의 제한 및 왜곡 사항을 수정 및 금지한다. 도하 개발 라운드에서 결정한 사항에 따라 농업물 수출 지원 행위 및 유사 행위를 금지한다. 

마지막 여덟번 째는 농업 상품 시장이 제대로 작동하도록 적절한 수단을 취한다. 또한 식량 재고와 같은 시장 정보가 신속하게 공유되어 식량 가격이 극단적으로 변동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유엔세계식량계획(WFP)은 이처럼 8가지 세부목표를 달성해 제로 헝거를 달성한다면, 세상의 모습은 지금과는 사뭇 다른 변화가 일어난다고 확신하고 있다.


바로 ▲제로헝거는 1년에 3백만 명의 아이들을 살릴 수 있다 ▲건강한 어머니들은 건강한 아이들 낳을 수 있다 ▲어린이 영양 실조 끝내 개발 도상국 GDP 16.5% 가량 증가 ▲기부된 1달러는 최대 139달러까지의 가치를 가질 수 있다 ▲어린 나이에 적합한 영양 공급 받으면 일생 동안 최대 46% 이상 증가 임금 받을 수 있다 ▲철분 결핍증 치료한다면 생산성을 20% 가량 높일 수 있다 ▲영양 결핍으로 죽는 아이들 없다면 9.45% 가량의 인력이 더 늘어날 수 있다 ▲모두에게 더 안전하고 번영된 세상 만들 수 있다

[ⓒ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