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기후기금 자칫 대기오염원 1위 석탄화력발전으로

김영민 기자

sskyman@ecoday.kr | 2015-03-31 19:18:58

기금 프로젝트서 온실가스 감축 기준치 설정 2016년까지 유보
환경단체 지구의 친구들,"고문 금지하지 않는 '반(反)고문 협약'"비판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 유엔이 만든 녹색기후기금이 자칫하다가는 대기오염원의 주범인 석탄화력발전소에 사용될 우려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녹색기후기금(GCF)은 개발도상국 기후변화대응을 위해 쓰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그런데 모호한 기금 사용 규정 탓에 온난화의 주범인 화력발전에 사용될 우려가 있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보도에 따르면 3월 24~26일 송도에서 열린 GCF 이사회에서 일본과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등의 반대로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명백히 금지하는 방안이 통과되지 못했다. 
 
이사회는 기후기금이 사용될 각종 프로젝트에서 온실가스 감축 기준치를 설정하자는 데 합의했지만 이에 대한 적용을 2016년까지 유보했다.

이에  기후기금의 상당 부분이 화석 연료 같은 '더러운 에너지'에 사용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 사례로, GCF에 참여하는 일본은 기후기금의 일환으로 인도네시아의 화력발전소 프로젝트에 10억 달러의 차관을 약속했다. 

일 정부는 이같은 화력발전소 프로젝트가 화석 연료를 효율적으로 연소시켜 기존의 화력발전소보다 오염이 적은 청정에너지라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AP통신은 이토 다카코(伊藤恭子) 일 외무성 대변인의 말을 인용 "일본 정부는 고효율의 화력발전소가 기후 변화 문제에 대처하는 현실적이고 실용적이며 효율적인 접근법이라는 견해를 갖고 있다"고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2014년 말 페루에서 열린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 총회에서 2013년 이래 총 160억 달러의 기후기금을 조성했다고 밝혔다. 
 
현재 유엔은 기후기금 사용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어 이같은 기후기금은 각국 정부의 자의적인 기준에 따라 집계되고 있다고 AP통신은 지적했다.

국제환경단체들은 기후기금이 태양열이나 풍력 같은 청정에너지에 사용돼야 한다는 입장에 모호한 규정에 반발하고 있다.

환경단체 '지구의 친구들'의 활동가 캐런 오렌스타인은 "고문을 금지하지 않는 '반(反)고문 협약'과도 같다"고 가디언을 통해 비판했다.

[ⓒ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