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KEITI, 23개사 '한국형 녹색채권 협약'
14사 9개 공기업 한국형 녹색체계 적용 채권 발행
녹색분류체계 원칙 6대 환경목표 칼같이 지켜야
무공해 교통, 폐기물 재활용, 재생에너지 등 포함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그린워싱이 허용되지 않는 진정한 한국형 택소노미(K-taxonomy) 기업, 공기업은 어디인지 체크리스크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먼저 국토부 산하기관 국가철도공단은 무공해 운송 기반을 구축중이다. 서울, 부산, 인천 교통공사는 무공해 자동차 도입, 무공해 운송 인프라를 깐다. LH공사는 제로에너지 특화 도시 건설에 초점을 맞춘다.
환경부 산하 유일한 공기업인 K-water 한국수자원공사는 상수도 등 용수공급 시설 구축한다.
시중금융권도 녹색금융산업을 위해 모였다. 대구은행은 수소 연료전지 제조, 육상풍력 사업, 신한은행은 이차전지 소재 제조, 저탄소 건축물 건설에 지원에 나선다. 카드사 중 삼성카드, 우리금융캐피탈, 신한카드, 현대카드, 현대캐피탈, BNK캐피탈은 똑같이 무공해 자동차 도입을 지원한다. 우리은행은 재생에너지 생산(태양광, 풍력), KB한국산업은행은 폐배터리 재활용, 무공해 자동차 도입 등에 글로벌 수준으로 끌어내도록 지원한다.
BNK부산은행은 폐기물 재활용, 이차전지 소재 제조 등에 추진한다. 에너지 관련 부분에서 포스코퓨처엠은 이차전지 소재 제조, 한국남동발전은 액화천연가스(LNG) 혼합 발전, 한국동서발전은 액화천연가스(LNG) 혼합 발전, 한국중부발전은 양수발전소 건설, 재생에너지 생산(풍력, 태양광)에 주력 지원한다.

이번 녹색채권 발행에 마지막 기업으로 SK지오센트릭은 대기오염물질 저감 장비 설치를 위해 참여한다.
환경부와 KEITI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이들 기업들에게 업무협약을 맺는다. 기술원에 따르면, 25일 몬드리안호텔에서 '2024년 한국형 녹색채권 발행 지원사업'에 참여한 23개 기업과 '한국형 녹색채권 활성화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협약식에 참여한 23개 기업은 올해 말까지 약 3조 9000억 원 규모(정부예산 약 55억 원)의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할 예정이다. 1차 공고에 따라 한국형 녹색채권 발행 지원사업에 참여한 23개 기업은 14개 민간기업과 K-water 등 9개 공기업으로 구성됐다.
이날 협약식에서 환경부와 KEITI, 23개 기업은 한국형 녹색분류체계의 적용 확대와 한국형 녹색채권 활성화를 위해 적극 협력하겠다는 의지를 밝힐 예정이다.
환경부는 지난해부터 한국형 녹색채권 발행 지원사업을 펼치고 있다. 이 사업은 '진정한 의미의 녹색경제활동'을 규정한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taxonomy)에 부합하는 사업을 위해 발행하는 채권에 대해 이자 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난해 25개 기업에 약 54억 원을 지원, 약 4조6000억 원 규모의 한국형 녹색채권 발행을 유도한 바 있다.
올해도 5월 추가공고를 통해 1차 공고에 참여하지 못한 기업들의 사업 참여기회를 확대할 예정이다.
![]() |
▲최종 에너지 수요 감축 및 전기화 시나리오(D3)의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
임상준 환경부 차관은 "기후위기 시대는 녹색산업의 경쟁력이 국가와 기업의 성장을 좌우할 것"이라며 "녹색채권 발행 등 녹색투자를 통해 성장의 기회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최흥진 KEITI 원장은 "탄소중립과 환경개선에 기여하는 '친환경 경제활동' 기준은 매우 엄격하고 까다롭다."며 "오늘 협약체결한 23개 곳은 모두 녹색산업의 한 획을 긋고,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형 녹색기술을 선보이는데 적극 돕겠다."고 말했다.
녹색분류체계에 대한 원칙인 6대 환경목표(온실가스 감축, 기후변화 적응, 물의 지속가능한 보전, 순환경제로의 전환, 오염 방지 및 관리, 생물다양성 보전) 중 하나 이상에 기여하고, 다른 환경목표에 피해를 주지 않아야 한다.
특히, 심각한 환경피해가 없을 것, 최소한의 보호장치를 준수해야 하는 단서조항이 지켜야 한다.
![]() |
▲국회기후위기특위, 환경노동위원회가 심각한 기후위기에 따라 탄소중립 실천나무를 심고 입법부의 역할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