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연 7만8천톤CO2 온실 감축
실무자 아이디어 기술 개발부터 현장 적용까지
누적 462만MWh 전기 생산, 약 5,17억 원 수입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매립쓰레기에서 나오는 가스가 전기로 재탄생하고 있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에 따르면, 제3-1매립장에서 소각되던 매립가스를 추가로 포집해 발전연료로 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를 통해 향후 10년간 약 180억 원의 경제효과(발전 및 온실가스 감축)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공사는 2007년부터 매립장에서 발생하는 매립가스를 포집해 50MW 발전시설의 연료로 활용해왔다. 이 과정에서 누적 462만MWh의 전기를 생산, 약 5,17억 원의 수입을 얻었다.

공사는 지난해부터 두 차례 시험시공을 거쳐 기술 검토를 마쳤고, 올 7월부터 본시공을 통해 기술을 현장에 적용할 계획이다. 본시공이 완료되면 발전연료 추가 확보 외에도 악취 차단, 연간 7만8000톤CO2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감축량은 소나무 56만 그루를 심은 효과와 같다.
아이디어부터 현장 적용까지 담당한 공사 강성민 매립부 과장은 "평소 소각되던 매립가스를 어떻게 하면 더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까 고민하다 기술을 개발하게 됐다."며 "많은 분의 도움으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는 지난해 정부로부터 폐기물 분야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전담기관으로 지정돼 해외에서도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활발히 펼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