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폭염 피해 막을 대책 세워야"

김영민 기자 / 2023-09-08 10:39:01
이례적인 폭염, 올여름 온열질환 사망자 31명
온열질환자 2682명, 20년 1078명 대비 1.5배
사망 70대 이상 노인층.. 지방서 사망자 많아
김원이 의원 "폭염시 작업중단 등 대책 필요"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이번 여름 발생한 온열질환자는 최근 5년 새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온열질환으로 인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 사람도 31명에 달했다.

국회보건복지위 소속 김원이 의원(목포시)이 질병관리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5월 20일부터 8월 31일까지 집계된 온열질환자 수는 총 2682명으로 2019년 1841명 대비 45.7%(841명) 증가했다.

 
온열질환자가 비교적 적었던 2020년(1078명 )에 비해서는 약 1.5배 늘어난 수치다. 온열질환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는 사람 수는 올해 31명으로 2019년 대비 3배 정도 늘었다. 사망자의 대다수는 열사병인 것으로 분석됐다.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올해 31명 중 절반 정도인 15명이 80세 이상의 노인이었다. 이어 70대가 6명 , 60대가 5명을 차지해 고령의 노약자들이 무더위 속 온열질환에 취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지역별로 분석해보면, 서울 등 대도시 보다 충남 · 경남 · 경북 · 전북 등 농어촌 지방에서 대부분의 사망자가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온열질환 발생장소를 상세히 살펴보면, 올해 사망자 31명 중 25명은 논밭이나 길가, 주거지 주변 등 야외에서 온열질환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노인인구가 많고 농사 등 야외작업을 많이 하는 지역에서 온열질환의 위험성이 더 높다고 지적한다.


김 의원은 "올해처럼 내년에도 폭염 및 무더위가 더 늘어날 수 있는 만큼 정부와 지자체, 구급체계시스템을 철저하게 대비하고 이에 대한 예산 편성을 확대해 농어촌, 산촌 등에서 피해가 없어야 하는 것은 물론 건설현장에서 또다시 안전 부주의로 폭염 사망자가 없게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원이 의원은 "온열질환에 가장 취약한 층은 야외작업을 많이 하는 농어촌 어르신들"이라고 강조하고 "질병관리청은 온열질환 감시체계를 운영하는 동시에 각 지자체와 협력해 폭염시 작업중단 안내와 관리감독. 지역별 무더위 쉼터 확대 등 보다 세밀한 대책을 강구해야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영민 기자

김영민 기자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