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업계 비상, '저공해차 확대법' 발의

김영민 기자 / 2017-06-27 12:20:00
강병원 국회의원, 엄마와 함께 만드는 푸른하늘 3법 추진
저공해차 의무 판매비율 지정 "미세먼지 해결 책임 다해야"
정부 보조금 지원 등 높은데, 대기업은 맞추지 못한 실정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국내외 자동차 제조업계가 좀 더 바빠지게 됐다.

앞으로는 이산화탄소 등 배기가스를 덜 뿜어내는 저공해 자동차를 비롯해, 친환경자동차 일정비율로 맞춰 판매를 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강병원 의원(서울 은평을, 더불어민주당 환경특별위원회 위원장)은 '엄마와 함께 만드는 푸른하늘 3법' 중 마지막인  '저공해차 확대법(대기환경보전법 일부개정법률안' 발의하는 기자회견 미세먼지해결시민본부와 함께 가졌다.

이는 지난 15일부터 시작된 '미세먼지 특별법'과 '수도권 등 권역별 대기 개선법'에 이어 나온 법안이다. 이 날 기자회견에서 강병원 의원은 국내 자동차 제조·판매사가 저공해차를 판매하기 위해 제대로 노력하지 않고 있음을 지적하고, 미세먼지 해결을 위해 기업 또한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리나라의 전기자동차 보조금은 대부분의 선진국에 비해 2~4배 가량 높은 수준이다. 중국, 일본, 영국, 독일 등의 선진국은 15~17% 수준인데 반해, 우리나라는 약 47%의 지원을 하고 있다.  

강병원 의원은 정부가 높은 보조금을 지원할 수 밖에 없는 이유에 대해 지적했다. 강 의원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선진국은 전기차와 내연차 간 가격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이다. 한국은 약 2.3배의 가격차이를 보이는데 반해 일본, 중국, 영국 등은 1.2~1.4배의 차이 밖에 나지 않는다. 특히 일본은 17%의 보조금 지원만으로도 내연차와 전기차의 가격이 거의 동일해진다.

 
또한 정부가 보조금 지원 등으로 수요를 늘려놓아도 기업이 그를 맞추기 위한 노력을 하지 않음을 비판했다. 1~5월동안 현대 아이오닉의 경우 7043대의 계약이 이뤄졌으나 2437대만이 출고됐다는 것.


외국기업의 태도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했다. 자국에서는 전기차종을 출시했으나 우리나라는 수출하지 않고 있다. 실례로 폭스바겐은 e골프 전기차종을 자국에 출시하고 수출도 진행하나 우리나라는 예외로 두고 있다.

 
이와 관련 강 의원은 저공해차 확대법(대기환경보전법 일부개정법률안)을 통해 자동차 제조·판매사에 일정 비율 이상의 차량을 저공해자동차로 판매하도록 의무를 부과할 예정이다.

▲강병원 의원

주요 법안 핵심을 보면, 비율 지정에 있어 전기자동차, 수소전지차 등 무공해자동차의 비율은 따로 지정한다. 의무판매비율에 따라 과징금도 부과하지만 행정기관에서 저공해차 의무구매제도 함께 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강 의원은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국민이 해온 노력에 비하면 기업의 이러한 작태는 너무 한심하다."고 강도높게 비판하며 "기업도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저공해차 확대법은 미세먼지 특별법, 수도권 등 권역별 대기 개선법에 이어 발의된 '엄마와 함께 만드는 파란하늘 3법'의 마지막 법안이다. 위 세 법안은 강병원 의원이 대표 발의한 법안으로, 50명의 여야의원이 공동 발의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영민 기자

김영민 기자

관련기사

미세먼지 특별법, "유별한 엄마 아닌 당연한 권리죠"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