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의 신대륙 모빌리티 재발견 

김영민 기자 / 2025-07-21 12:25:04
전기차, UAM, 자율주행, 배터리, 선박까지
가장 한국다운 모빌리티 경제학 방향 제시
대한민국 대표 상품 모빌리티엑스포 성공
모빌리티경제학 생성형 인공지능 큰 지적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는 1492년 10월 새로운 기회의 땅 아메리카 대륙을 첫 발을 내딛었다. 

533년이 흘렀다. 인류는 100년 주기로 전광석화의 빠른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성장을 이어왔다.

산업문명의 촉발은 사실상 더 편리하고 유익함, 불편함에서 오는 게으름을 털어버리기 위해서 몸부림으로 기지개를 펴왔다. 달리는 마차에서 바퀴없는 모빌리티와 화석연료에서 무해한 청정연료화로 더 빠르게 움직였고 욕구의 세포 분열은 멈추지 않았다.

급기야 육상에서 해양과 창공을 넘어 먼 우주까지 기술력은 무한한 잠재력의 욕망을 분출했다. 한 세기마다 역사적 사건은 앞으로 반세기로 좁혀지고, 국경의 벽을 깨는 문화창달과 모두를 이롭게 하는 촉매제는 모빌리티 기술 교류이다. 즉 숨 쉴 틈을 주지 않는 전환은 무죄가 되고있다.

신대륙 발견이후 100분의 1 짧은 시간이지만, 대한민국 또 하나의 재발견은 서귀포가 되고 있다.

바로 국제e-모빌리티엑스포다. 전기자동차 산업의 로망은 바다에 대륙봉처럼 세운 지난 12년의 소사(小史)에는 더 큰 희망을 태웠고 나아가 대한민국의 역동력을 한 축으로 확인했다.

수소차, 친환경선박과 전동화 농기계에 이르기 까지 도농의 문화를 바꾸는 씨앗을 뿌려 지구촌에 모든 모빌리티의 지도를 다시 그린 엑스포, 올해 칠월을 가장 뜨겁게 달궜다.

현장에는 어린 학생에서 부터 고도의 모빌리티 산업의 역군과 소부품에서 큰 부품에 이르기까지 전문 연구진들까지 화합했다. 그야말로 모빌리티산업은 인류의 달을 향해 보낸 동경의 눈빛처럼 서귀포에서 금은보화들이 하나둘 모여서 꿰맨 보석들의 향연이었다.

대한민국 대표 상품 모빌리티엑스포는 사실상, 한국형 산업의 큰 틀 나침반이자, 기준표가 되고 있다. 현대기아차에서 부터 공공기관의 모빌리티 실행하는 모든 에너지원까지, 선진국의 눈길이 서귀포에 집중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었다.

제13회 2026 국제e-모빌리티엑스포는 남쪽 끝 서귀포를 종단해 유라시아 횡단와 동유럽 끝까지, 미대륙으로 이어지는 새로운 실크로드다.

바란다면, 다양한 색다름의 창의적 도전의 장을 더 확장되기를 소망한다. 글로벌 모빌리티의 진단과 프로세스에 대한 비전과 정책이 창궐하는 한층 업그레이드한 국가 경제지수를 높이는데 초점을 맞췄으면 한다. 중앙부처와 산하 공공기관, 광역시도, 대기업의 소통 통로가 되는 최대 축제의 장이 되기를 소망한다.

2026년 더 나은 모빌리티 산업의 신대륙은 승부수를 띄워야 할 때가 됐다. 왜냐하면 모빌리티경제학의 관점에서 생성형 인공지능(GenAI)의 큰 지적 기술 공식은 알파와 오메가처럼 표출할 절호의 기회이다.

그래서 푸른 제주 서귀포가 희망봉의 근거인 딥 체인지로 점핑해야하는 철학적 문화적 운명까지 타고나 모두가 환호하는게 아닌가. [환경데일리 = 김영민 기자]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영민 기자

김영민 기자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