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총 서비스연맹 배달플랫폼노조 경기지부
[환경데일리 고용철 기자]28일,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배달플랫폼노동조합 경기지부는 고양시 일산 지역 한 아파트 단지에서 "오토바이 진입금지 폐지하라.", "택배차량은 출입 가능한데 오토바이만 금지하는 것은 차별"이라며 기자회견을 열었다. 기자회견은 고양, 파주에서 근무하는 배달 노동자 20여명이 함께했다
배달플랫폼노동조합 심의석 경기북부지회장은 취지 발언을 하며 "이 아파트 단지는 고양지역의 대표적 배달 기피지역이 됐다."며 "아파트 정문에서 걸어서 배달을 수행해야 하며 개인정보를 기록하도록 하는 차별적 관행이 존재한다" 고 현재의 문제점을 짚었다.
또한 "배달 라이더가 더 많은 시간과 노동력을 소비해야만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만들고 이를 만회하기 위한 무리한 운행을 부추기기도 한다."라며 배달노동자들의 노동강도, 사고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지적했다.
문제의 아파트 단지의 오토바이 출입 금지는 2020년 경부터 시작됐다. 지난해 9월에 아파트 단지 진입 금지에 대해 인지하지 못한 배달라이더와 진입과 제지하는 경비 직원과 몸싸움이 이어져 피해가 발생 되기도 했다.
당시의 배달 라이더는 글을 통해 "저는 음식배달을 하는 도중 20대 경비원 3명에게 집단폭행을 당했다. 그런데 아파트 CCTV는 폭행당하는 장면만 삭제됐다."고 억울함을 호소했다.
더 어처구니 없는 건 경찰은 적반하장으로 일방적인 가해자 취급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단지 고객의 요청에 따라 음식배달을 갔을 뿐"이라며 "사회적 지위가 있다고, 권력이 있다고 해서 타인을 함부로 할 권리는 없다. 어려운 상황에서 겨우겨우 꿈을 이어가고 있는 저에게는 너무 힘든 시간이었다."고 피해 당시부터 지금까지 힘든 시간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노조는 기자회견문을 통해 "지난해 9월의 사고 상황은 하나의 사건일 수도 있지만 이와 같은 일은 언제나 일어날수 있는 구조적 문제의 표현이기도 하다."라며 "궁극적으로는 아파트 단지의 오토바이 진입 금지를 폐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오토바이 진입금지 사실 등을 소속 라이더들에게 안내하지 않고, 사고가 났을 시 아무런 대응도 하지 않은 거대 플랫폼 사에도 문제가 있다"며 "갑질로 인한 피해, 아파트 단지와의 마찰로 인한 피해는 오롯이 배달 노동자 개인이 모두 짊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배달플랫폼노동조합은 이후 아파트 단지 관계자들과 만나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임을 밝혔다. 배달플랫폼노조 조합원들과 고양 파주 지역 배달 노동자들, 진보당 고양시위원회에서 함께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