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가공 무한 잠재력, 정작 관련 업체 영세
소 의원 "정부 적극 지원 시장 환경 조성"
[환경데일리 문종민 기자]국내 쌀산업 발전이 한계에 도달한 채 방치돼왔다.
![]() |
▲소병훈 의원 |
쌀생산을 장려하는 구호적인 목소리만 있었을 뿐, 국내 쌀소비량을 늘리기 위한 대안은 외면했다. 이런 가운데 쌀을 소재로 다양한 가공식품 업계는 영세성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인소병훈 의원(경기 광주시갑·)은 5일'쌀가공산업 육성 및 쌀 이용 촉진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최근들어 밀가루를 대체할 목적으로 개발한 분질미와 글루텐 프리, HMR(가정간편식) 상품 등 최근 식문화 트렌드를 잘 반영하고 수출에 유망한 고부가가치산업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더욱이 한류의 인기가 지속됨에 따라 K-푸드에 대한 세계적 관심도 높아지면서 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와 물류난 등 어려운 수출여건에도 작년 한 해 쌀가공식품의 수출은 180.6백만불을 기록하며 10.1%의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현행법상 국가 또는 지자체가 쌀 가공산업의 육성, 수출 경쟁력 제고 및 해외시장 진출 활성화를 위해 쌀 가공품의 대표브랜드를 홍보하거나 해외시장을 개척하는 자 등에 대해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쌀 가공산업은 영세한 중소기업이 영위하는 경우가 많아 대부분 연구 및 개발에 대한 투자 여력이 부족하다. 때문에 가공업자가 적극적으로 해외시장 진출에 나서기는 어려운 실정으로 쌀가공품의 수출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정부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소병훈 의원은 '쌀가공산업 육성법 개정안'을 발의해 쌀가공산업의 국외 판로 확대를 위한 정책 수립 및 지원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했다.
개정안 주요 내용은 ▲쌀가공산업 육성 및 쌀 이용 촉진 기본계획 쌀가공품 국외 판로 지원 ▲농식품부장관 쌀가공품 국외 판로 확대 ▲내수 위주 쌀가공업자, 수출 준비 추진 자 ▲쌀 가공품 수출 준비나 추진 자로서 대통령령으로 지원 ▲쌀가공품 국외 판로지원에 관한 정책 수립을 위해 쌀가공품의 수출입 동향을 분석공표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았다.
소병훈 의원은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쌀가공 관련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이 경쟁력을 발휘할수 있는 시장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쌀 가공산업은 쌀 소비를 활성화 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라며 "앞으로도 쌀가공산업의 건강한 발전이 쌀 소비 촉진 그리고 쌀값 안정으로 이어지는 선순환으로 이어지도록 재정적 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