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기초 조사 작업 착수
해외기관과 공동 및 국내기관과 개발 참여가능
BADP코리아, 미생물 첨가제 생분해 인증획득
새정부, 바이오화학, 바이오플라스틱 신동력
블루칩으로 굳건했던 석유화학산업계 대변신이 기정사실화되고 있다.
재생에너지원 확보가 세계 시장 흐름으로 가운데 돌파할 난분해플라스틱을 생분해 기술 적용이 활발해지고 있다.
국내 기업인 (주)BADP코리아는 최초로 미생물 첨가제 생분해 플라스틱 기술력을 국가 기관(한국환경산업기술원 KEITI)으로 공식 인증 획득을 하면서 위상이 급부상하고 있다.
이 회사는 미생물로부터 효소를 추출해 플라스틱에 적용하는 다양한 연구와 모든 산업군에 실증과 국가 인증까지 획득했다. 적용 제품군은 PE, PP, PS, PVC, PET-Fiber 등에 가능하도록 개발했다.
이런 큰 변화가 몰려오면서 철웅성 같은 플라스틱산업은 미래지향적인 ESG 가치에 보폭을 같이 한다는 공감대로 모아지고 있다.
첫 번째로 에코액션으로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은 '바이오플라스틱 분야 국제 공동 및 국내 표준 개발' 기획 기술수요조사에 나섰다.
평가관리원에 따르면, 이번 수요조사 배경을 해외에 주도권을 빼앗기기 전에 표준화 개발 구축을 위해 사전적 작업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수요조사결과 이후 국가별 국제표준화 기준점은 석유화학 난분해플라스틱의 근원적인 환경개선을 위한 대전환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기존의 대체플라스틱 이외에 생분해첨가제로 석유화학플라스틱을 자체 생분해하는 국가간의 국제표준이 절실히 필요해졌다.
생태계 재앙으로 분류된 플라스틱 문제를 미생물 첨가제 효소화 기술 등장은 대기업군, 중견 및 중소기업들의 ESG 실행 돌파구로 인식하고 동참할 수 밖에 없다.
업계 관계자는 "석유화학 난분해플라스틱의 생분해야 말로 당장이라도 플라스틱의 오염을 개선하는 방법임을 인정하고 있다."며 "바로 적용하지 않으면 연간 5억 톤으로 증가할 플라스틱 생산량을 감당할 수 없게 된다."고 강조했다.
평가관리원은 "이번 수요조사를 통해 미세플라스틱 문제 등 지구오염은 점점 회귀하기 어려운 상태에 놓여져 함께 해결해나가는 역할이 될 것으로 지혜를 모아달라"고 했다.
이재명 정부는 바이오화학, 바이오플라스틱을 신성장 동력으로 분류했다. 배경은 간단하다. 고부가가치 친환경 제품으로의 빠른 전환과 글로벌 시장 경쟁력 확보가 리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기, 선박, 항공, 자동차 기술력처럼 국제 인정받는 표준화가 갈림길이다.
이번 수요조사결과를 위해 연구기획 주관은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이 맡았다.
수요조사에서 체크리스크는 사업분류다. 두 분류로 해외기관과 공동 표준개발, 국내기관 단독 또는 협동 표준 개발으로 나눠져 있다. 구분은 국제 표준(ISO TC61/SC14) 개발, 국가 표준(KS) 개발으로 희망하는지도 기초 조사로 삼고 있다.
이번조사에서 해외 연구개발과제로 목표를 정해서 참여할 수도 있다. 참여할 의사가 있는 해당 기업, 지자체, 연구기관, 대학, 정부기관, 협회 등은 사업비를 받아서 생활계에서 부터 산업, 의료계 등 전분야에 뛰어들수 있다. 조사기간은 7월17일까지다.
김대훈 KCL 수석연구원은 "이번 국제표준화를 국가적 과제로 인식하고 기업 및 전문가 그룹에 대한 전푹적인 지원과 공동협력으로 추진한다."며 많은 참여를 요청했다.
문의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김대훈 수석(032-460-5127, dhkim@kcl.re.kr [환경데일리 = 김영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