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해수위, 해양수산개발원, 녹색연합
20일 임미애, 문금주, 문대림 의원 참석
해안 마을 생활 기반 해양 생태계 붕괴
물맛이 좋기로 정평이 난 제주도 연안 지역은 해수가 스며들어 농산물 짓기에도 어렵게 하고 있다. 그 외 명승지도 별반 다르지 않다. 삼척, 경포대, 여수, 남해 거제도, 부산 해운대, 광안리, 송도도 엇비슷하다.
서해안 당진, 서산, 홍성, 장항, 시화, 강화 등 해안가도 모레가 사라지고 앞으로 10년 내 먼바다같이 썰물 밀물이 구분하기 힘들 정도로 검은 갯벌만 드러내고 있다. 이런 현상의 직접적인 원인은 기후위기에 따른 연안 침식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
해수면 상승으로 연안침식은 국지적 현상에서 벗어난 국가적 위기 사안으로 인지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이 공통된 의견이다.
환경활동가들은 국토 보전과 생태계 보호 측면에서 해안 마을의 생활 기반과 해양 생태계 붕괴가 맞물려 있는 만큼 환경부, 해수부, 국토부 등이 대책 마련을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내고 있다.
20일 국회에서 처음으로 연안개발과 보전 사이의 충돌을 해소할 정책·제도적 대안에 대해 본격 논의한다. 이 자리는 다자 협력 모델을 찾기 위해 정부·국회·학계·시민사회가 참여한다.
토론회 주최는 문금주 국회의원을 중심으로, 어기구 농해수위원장, 김병기 민주당 원내대표, 전재수 해수부 장관이 참석한다.
발제는 권기영 국립수산과학원 센터장이 '연안개발과 해양이용영향평가 제도의 역할'에 대해, 이어서 윤성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본부장은 '연안침식 대응 정책 현황과 개선방안'을 발표한다.
종합토론은 유근배 전 서울대 부총장이 진행한다. 패널은 최광희 교수(가톨릭관동대), 최황 활동가(녹색연합), 김인호 교수(강원대), 김태윤 박사(KEI), 김광립 과장(해수부 항만연안재생과)이 배석한다. [환경데일리 = 김영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