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 충격, 95%서 발암물질 불소 거듭 확인
조사 결과, 8곳 중 7곳 기준치 초과 불소 검출
주민건강 무시 서울시 소각장 선정 취소 마땅
마포구, 시에 토양 정밀조사와 오염토 정화 조치
박강수 구청장 "문제없다고 호언장담,결국 거짓"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서울시 마포구 소각장 건립을 놓고 진실공방으로 치닫고 있다.
국회환노위 소속 노웅래 의원은 발암물질이 나온 만큼 원점에서 건립에 대해 투명하고 정확하게 주민들이 충분히 설득이 가능한 근거로 재논의를 해야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마포구 상암동에 짓기로 한 신규 쓰레기 소각장 예정지 인근 300m 이내 8 곳에서 실시한 토양조사에서 7 곳에서 법적 기준치를 초과한 유독성 발암물질인 불소가 검출된 것으로 재확인됐다 .
마포구가 18 일 한국환경수도연구원에 의뢰 실시한 토양환경오염조사에서 신규 쓰레기 소각장 예정지 인근 토양조사에서 소각장 입지 예정지 300m 이내의 8개 지점 중 한 곳을 제외한 7개 지점에서 많게는 기준치의 95%를 초과한 779mg/kg의 유독성 발암물질 불소가 검출된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환노위 소속 지난 5월 노웅래 의원(서울 마포갑)이 의뢰해 국립환경과학원 등 마포 소각장 예정지에서 실시한 토양 환경오염조사 결과, 기준치 400mg/kg 의 1.4 배가 넘는 563mg/kg의 불소가 검출됐다. 환경부는 노웅래 의원실이 실시한 토양오염 조사 결과에 대해 법적 기준에 따라 분석한 것을 인정한 바 있다.
노 의원은 "많게는 기준치의 95%를 넘는 불소가 검출된 것이 확인됐다."며 "불소는 과다노출 시 피부나 폐에 손상을 주는 발암물질이기 때문에 마포 소각장 추가 건립 추진에 앞서 주민의 건강과 안전을 담보하기 위해 토양정밀조사와 오염 토양정화가 먼저 선행돼야 마땅한다." 고 촉구했다.

지난달 31 일 서울시는 마포구 상암동에 신규 자원회수시설을 2026년까지 짓기로 했다. 후속조치로 기존 마포자원회수시설은 2035년까지 철거한다고 밝혔다.
주민들에게 불신의 화근이 되는 것은 시가 후보지 주변 주민의 의견은 고려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결정하면서 불거졌다.
여기에 기름을 부은 것은 신규 자원회수시설 선정을 위해 서울시에서 의뢰한 토양오염 조사에서 불소가 394mg/kg으로 기준인 400mg/kg이하로 검출됐다.
문제는 당시 서울시에서 조사를 의뢰한 업체는 환경부가 제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환경영향평가보고서 허위 작성으로 처벌받은 업체였다.
![]() |
▲노웅래 의원 |
노웅래 의원실과 국립환경과학원 · 한국환경공단(K-eco)이 다시 한번 제조사에 착수했다. 그 결과 지난 5월 마포 소각장 예정지에서 실시한 토양환경오염조사 결과, 563mg/kg의 불소가 검출됐다. 객관적이고 투명성을 위해 당시 서울시에서 측정한 동일 장소에서 측정한 결과였다.
노 의원은 "기준치 초과의 불소가 검출된 것이 확인됐다."며 "불소는 과다노출 시 피부나 폐에 손상을 주는 발암물질"이라며 주민들에게 위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시에서 마포구 상암동에 신규 쓰레기 소각장을 짓기 위해 토양오염 정밀조사 및 정화명령의 기준치에 맞춰 조사결과를 허위로 조작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이어 "서울시는 토양조사 장소의 95%에서 발암물질인 불소가 기준치를 초과한 것은 주민건강을 위해서 원점에서 마포구 상암동 신규 쓰레기 소각장 설치를 재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번 결과에 마포구는 토양오염에 대한 주민의 우려가 현실로 밝혀져 후폭풍이 거셀 전망이다.
박강수 구청장은 "소각장 예정지의 토양오염은 문제없다고 호언장담하던 서울시의 주장은 결국 거짓으로 판명났다."며 "법적 기준치가 넘는 지역이 발견된 만큼 관련법에 따라 토양정화책임자인 서울시에 철저한 토양 정밀조사와 오염토양 정화 조치를 강력히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전문측정기관에서 14개 지점을 대상으로 실시한 토양오염도 측정 결과 이상 없다고 밝힌 서울시의 주장을 뒤집는 결과가 나오며 시의 무리한 소각장 건립 강행에 제동이 불가피해 보인다.
앞서 8월 28일에 실시한 토양오염도 조사는 신뢰성 확보를 위해 토양오염조사 전문 지정기관인 (재)한국환경수도연구원에서 실시했다. 서울발전본부를 비롯해 문화비축기지(구 석유비축기지), 하늘공원, 연료전지발전소 등 지역 내 기피시설 7지역 18개 지점을 조사했다.
최근 오염문제가 불거져 문제가 되고 있는 신규 소각장 입지 예정지 및 인근 지역의 조사 지점은 7월 언론을 통해 불소 초과검출 논란이 된 상암수소충전소 인근 1개 지점, 서울시립 미술관 난지창작스튜디오 인근 2개, 신규 소각장 입지 예정지 녹지 2개, 노을그린에너지 인근 2개, 서울시산악문화체험센터 1개 지점 등 8개 지점이다.
구가 공개한 조사결과를 자세히 살펴보면, 상암수소충전소 인근 지점은 토양오염우려기준인 800mg/kg 보다 적은 565mg/kg가 검출됐다. 이는 구가 해당 지역의 분류기준을 환경부에 질의한 결과, 자치구에서 판단할 사항이라는 답변에 따라 3지역 기준을 적용한 결과다.
2지역으로 분류되는 서울시립 미술관 난지창작스튜디오 인근 2개 지점에서 토양오염우려기준인 400mg/kg을 초과한 779mg/kg, 475mg/kg의 불소가 검출됐다. 노을그린에너지 인근 2개 지점도 각각 531mg/kg, 504mg/kg으로 불소가 2지역 기준을 초과했다. 1지역으로 분류된 신규 소각장 입지 예정지 녹지 2개 지점에서 토양오염우려기준인 400mg/kg을 초과한 424mg/kg, 476mg/kg의 불소가 검출됐다. 서울시산악문화체험센터 인근 1개 지점은 411mg/kg의 불소가 검출돼 토양오염이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박강수 구청장은 "쓰레기 소각장 입지 예정지 뿐 아니라 지역 내 모든 기피시설에 대해 토양오염 조사를 실시했는데 한 곳도 예외 없이 모든 지역에서 불소가 초과 검출되는 충격적인 결과가 나왔다."며 "이것이 바로 마포구와 37만 마포구민들이 고통 받고 있는 현실이다."고 꼬집어 말했다.
이어 "지금이라도 서울시는 마포구 주민들의 고통과 인내를 외면하지 않고 현실을 직시, 명분도 실리도 없는 추가 소각장 건립에 매몰되기 보다는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고 주민들의 고통을 위로할 수 있는 정책을 즉시 마련하길 바라며, 특히 생활폐기물의 올바른 분리배출 활성화와 소각쓰레기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전처리 시설 설치 및 소각 제로가게 확충 등 근본적인 폐기물 정책을 펼쳐야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