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치 148베크렐(Bq/㎥) 초과 라돈 검출
1급발암물질 기준치 초과, 장병 건강 적신호
전략사 요원 3개월 넘게 상주…고농도 노출
8월 한미 연합훈련 사용 예정 "대책 세워야"
GTX-A 노선, 주요 지하철 내, 학교 교실, 일반 가정 집, 지하 상가나 사우나 등에서 자신도 모르게 1급발암물질인 라돈(Radon)에 피폭될 수 있다.
그런데 군 핵심시설에서 또 나왔다. 폐암을 유발하는 라돈 유해물질은 특성상 지하 실내에 공조기로 완벽히 제거되지 않는다.
라돈은 공기 중에서 호흡기를 통해 직접 인체에 침투한다. 라돈은 기체 원소로, 비활성 방사성 기체다. 다른 비활성 기체들처럼 반응성이 낮고 자체의 색이나 냄새가 없는 기체다. 피복된 사람은 전혀 느낌을 받을 수가 없고 나중에 알았을 때는 이미 늦은 상태다.
그동안 사회 곳곳에서 교실, 지하시설 내에서 라돈 기준치를 넘는 수치, 공포로 내몰아왔다.
육군 수도방위사령부(수방사) 내 B-1 지하벙커 일부 구역 라돈 수치가 실내공기질 관리법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17일 확인됐다. B-1 벙커는 군 전략사령부 일부 장병의 근무지이자 한미 연합연습의 핵심 장소다.
국회 국방위 소속 유용원 의원(국민의힘)은 17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현역 군인이 익명으로 수방사 B-1 벙커 라돈 수치가 실내 공기질 기준치를 장기간 초과해 왔다고 제보해왔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국방부는 벙커의 일부 구역에서 실내공기질 관리법상 기준치인 148베크렐(Bq/㎥)을 초과하는 라돈이 검출을 인정했다.
최근 5년간 군이 B-1 벙커 일부 지역 측정 결과를 보면, 38개소에서 측정한 라돈 수치 중 최고치는 706Bq/㎥에 달했다.
저감 시설 보강 공사의 영향으로 2020년(449.5Bq/㎥), 22년(357Bq/㎥)보다 작년의 평균값(157Bq/㎥)은 내려갔다.
문제는 여전히 일부 구역에선 법적 기준치보다 높은 수치를 나오고 있다. 국방부는 2013년부터 B-1 벙커의 공기질을 정기 측정했다. 국방부가 쓴 라돈 차단 및 저감 예산만 지난 10여년간 100억 원을 썼다.
그러나 B-1 벙커가 자연발생한 라돈이 다량 발생하는 자리에 세워졌다. 결국 국방부는 주먹구구식으로 사전 실태조사조차 하지 않았다.
특히 추가 공조 설비를 둘 만한 공간이 부족하다는 이유만으로 법적 기준치만 낮추지 못하고 방치되고 있다.
폐암 진행 특성상 벙커내 근무 군인들은 오랜 잠복기를 걸쳐 폐암 발병 가능성이 높을 수 밖에 없다.
유 의원은 "일부 장치가 고장시 고스란히 고농도 방사능 노출 위험에 놓이게 된다."고 위험성을 우려했다.
국내 라돈 전문가인 조승연 연세대 명예교수는 "B-1 벙커 구조를 확인해보니 천연 라돈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지역"이라며 "벙커 내부 구조가 복잡하고 협소한 구간이 많아 내부 전체를 자연환기 하기에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2024년 창설된 전략사 참모부 요원 40여 명이 B-1 벙커에 상주 근무중이다.
유 의원은 "해당 사실을 몰랐던 전략사는 장병들을 3개월간 고농도 라돈에 무방비 노출했다."며 "근무자들은 원인 모를 두통과 피로를 호소했고, 3개월 뒤늦게 다른 곳으로 근무지를 변경했다."고 뒷북 행정을 비판했다.
그러면서 "벙커의 심각성을 개선할 수 없다면 제2지휘시설 마련 등 대책 마련이 서둘려야 한다."며 "이달 말까지 완료 예정인 전략사 간부 40명의 건강검진도 철저히 시행과 치료 병행에 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환경데일리 = 고용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