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KEITI 공동 녹색 전환 촉매 역할
다자개발은행과 해외 녹색사업 협력 강화
효과적 환경 난제 해결 협력 개도국 제안
매립장 온실가스 저감 프로젝트 추진사례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녹색기술 보급은 세계 금융기관과 긴밀한 협력으로 적재적소에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 지금까지 녹색금융 녹색기금 등 활용한 세계 그린허브 역할을 환경부와 KEITI, 수출입은행 등이 다자간 수자원, 대기, 폐기물, 자원순환, 에너지 부문에 집중했다.
지난해 이어 2023년에도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KEITI)은 7일 코엑스에서 진화된 기술력과 사례발표 등이 공개된다.
이번 국제행사는 세계 주요 다자개발은행(MDB) 등과 '제2차 한-다자개발은행 그린협력 포럼'을 개최한다. 앞서 5월 25일에 열린 '글로벌 그린허브 코리아 2023'행사에서 전 세계 녹색 전환의 촉매 역할을 재확인했다.
이번 행사는 다자개발은행, 수출입은행 등 국내 유관기관 및 국내 녹색기업 등과 함께 이를 위한 구체적인 협력방안을 논의한다.
![]() |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정부주도의 기후산업박람회에서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온실가스감축 등 기후변화 적응기술개발에 대한 녹색기술을 소개했다. |
세계 5대 다자개발은행인 ▲세계은행(WB) ▲아시아개발은행(ADB) ▲미주개발은행(IDB) ▲중미경제통합은행(CABEI)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관계자가 참여해 은행별 '그린 협력사업 추진 방향'을 설명하고, KEITI, 수출입은행,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에서 다자개발은행과의 협력방안을 제시한다.
7일 오전 1세션은 ▲탄력, 포용적 녹색 개발 및 녹색순환 전환(헬레나 나버 WB 선임 환경전문관) ▲ADB 그린사업 추진방향 및 프로젝트 기회(문성훈 ADB 도시개발전문관) ▲라틴 아메리카서 한국까지: 물과 위생 서비스 거버넌스(세르지오 캄포스 IDB 물위생국장)이 참석한다.
이어서 ▲CABEI 그린사업 추진방향 및 프로젝트 기회(험버트 로드리고즈 CABEI 대외자금팀장) ▲AFDB 그린사업 추진방향 및 프로젝트 기회(제럴드 느줌 AfDB 수석전문관)에 대해 발표한다.
마지막 3세션 시간은 ▲디지털 기술 넷제로 전환 핵심 조재연(SK에코플랜트 부사장) ▲아태지역 플라스틱 문제 해결 솔루션(주누 수레스타 WB 선임환경전문관) ▲중남미지역 폐기물 관리 미래(마그다 코릴 IDB 선임환경전문관) ▲매립장 온실가스 저감 우수프로젝트 추진사례(김영식 세진 G&E 상무)를 발표한다.
8일은 현장 견학도 잡혀있다. 다자개발은행 관계자와 함께 서울시중랑물재생센터, 서부공원여가센터(월드컵공원) 등을 방문 개도국의 환경 난제 해소에도 활용 가능한 녹색기술 적용사례를 살펴볼 예정이다.
그러나 환경부는 다자개발은행과 함께 개도국에서 요청한 사업만 추진 환경 난제 해결도 어렵고 녹색산업 진출도 일회성에 그치는 한계도 부인하지 않았다.
최흥진 KEITI원장은 "협력국의 제도와 기술을 정비해 G2G 네트워크를 강화 및 국내 기업에 우호적인 현지환경을 조성, 해외 프로젝트 발굴 등 녹색산업 해외진출 활성화하는데 주력하겠다."며 "협력국들이 풀어야 할 환경문제를 K-기술 솔루션 제공하고, 현지 진단팀을 파견해 프로젝트 발굴에도 관련 기관, 기업들과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장기복 환경부 녹색전환정책관은 "전 세계 녹색 전환의 촉매 역할을 위해서는 다자개발은행과의 협력이 절대적"이라면서 "다자개발은행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한국의 기술력 있는 녹색산업체가 정부간 협력을 바탕으로 개도국의 녹색 전환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