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사립대, 세습 어느 정도인가?

김영민 기자 / 2017-09-27 18:19:00
노웅래 의원, 전국 67개 사립대학, 족벌 경영 심각
세습왕국 전락 사립대 부모 이사장-아들 총장 체계
단국대, 추계예술대 경우 3대 째 총장 세습 본격화

[환경데일리 김영민 기자]"이래서 상아탑의 명예는 사라지고, 대학교가 사기업화되고 있어요. 국공립, 사립대를 포함, 학교 통합 등 정부의 지원을 철저하게 갈려서 멈추고, 특히 사립대학 설립자나 이사장의 가족이 사립대학의 주요 보직을 맡는 '족벌경영'을 발본색원하지 않으면 우리 교육계 혁신은 만들수 없어요,"

충청권 사립대 교직원은 자신이 학교 재단에 대한 문제점을 낱낱이 잘 알고 있다고 반양심선언식으로 언급했다.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노웅래 의원(더불어민주당, 마포갑)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사립대학의 설립자·임원 친인척 근무 현황'에 따르면, 전국 67개의 사립대에서 설립자의 가족 또는 이사장의 가족이 총장·교수 등 교직원으로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단국대, 평택대, 한동대 등 전국 67개 사립대에 근무하고 있는 설립자 및 이사장의 가족은 모두 163명에 달한다. 이 가운데 총장으로 재직 중인 가족은 29명, 교수로 재직 중인 가족은 73명이었으며, 나머지 61명은 기획실장·팀장 등 주요보직에서 근무하고 있었다. 

29명의 총장 중 설립자 또는 이사장의 자녀인 경우는 21곳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배우자 4곳, 사위 2곳, 며느리 1곳의 순서로 나타났다. 경성대 총장은 이사장의 이모부인 것으로 확인됐다.  

'아버지 이사장 – 아들 총장'의 족벌체제를 '3대 째' 세습하고 있는 경우도 있었다. 단국대의 경우 1947년 설립 이후 3대 째 세습 중이고, 추계예술대와 경북보건대 또한 '부모 이사장-자녀 총장' 체제로 3대가 대물림하는 등 전형적인 사학 족벌 체제를 유지해오고 있는 실정이다. 

설립자 및 이사장의 가족이 가장 많이 근무하는 곳은 평택대와 동의과학대였다. 동의과학대의 경우 설립자의 3남, 며느리, 5촌(종질), 6촌(재종손)등 8명의 가족이 총장, 교수, 처장 등으로 근무하고 있었다. 평택대 역시 설립자의 차남, 차녀, 사녀, 조카사위 등 8명의 가족이 조교수, 처장 등으로 근무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서경대, 호남대의 경우 이사장의 처조카와 처조카의 배우자까지 재직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웅래 의원은 "사립대의 족벌경영은 결국 비리와 무책임한 사학운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하고, "교육부에 신고 되지 않은 설립자 가족 직원들은 더 많을 것이다. 사학이라 하더라도 명백한 공공법인으로 개인의 소유가 아니므로 더 이상 사학을 가족기업처럼 운영할 수 없도록 관련법 개정을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전국대학교직원노조 한 관계자는 "서울 수도권 지역 사립대에 대한 전면적인 재정 및 교직원 비리, 학생들의 장학금 실태, 재단 이사장의 배임 및 횡령, 이중장부를 비롯해, 친인척 학교운영개입, 교수 임용에 따른 기부금 노골화, 학교발전기금 명목의 재정 쓰임 등을 교육부가 착수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성토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영민 기자

김영민 기자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