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급식 제대로 지원하기 위한 통합적인 플랫폼이 주목받고 있다.
이유는 지역 농산물 생산과 공급 유통까지 원활할 뿐만 아니라, 급식체계를 수월하게 발전시킬 수 있다는 장점때문이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홍문표)는 8일 경남도청 서부청사에서 도내 14개 지자체와 지역 농수축산물을 수요기관에 맞는 '공공급식통합플랫폼'의 사용 확산에 집중하고 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공공급식 광역협의회를 열었다.
aT공사의 '공공급식통합플랫폼'은 국내 공공급식 수요기관에서 안전한 식재료를 공급하고 조달하는 시스템이다. 주요 기능은 ▲계약문서 자동 생성 편리 수·발주 ▲매입처 거래, 보조금 정산 ▲식재료 거래데이터 통계제공 등 기능이 구축돼있다.
이런 현장에서 효과를 얻는 결과, 11월 현재 전국 10개 시도 58개 기초지자체에서 도입해 사용 중이다.
주요 사용지역인 경남도는 지난해 5월 개최한 첫 번째 경남 공공급식 광역협의회를 계기로 7개에서 10개로 확대됐다.
이렇다보니 기존의 학교 중심에서 어린이집, 아동센터 등으로 다양해졌다.
aT공사는 경남 도내 플랫폼 사용지역‧기관 확대와 식재료별 소비현황 등 체계 관리로 급식의 효율성을 높이는 광역협의회를 마련했다.
현장에서 플랫폼의 특장점을 경남지역에 맞는 기능을 설명하고, 지자체별 공공급식 현황공유와 시스템 관련 의견 등 공공급식이 발전하는데 지원했다.
aT공사 김형목 유통이사는 "경남도에서 플랫폼 사용지역이 늘고 있어 안전하고 투명한 공공급식 체계가 더 확산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특히 "지역 맞춤형 기능 개발과 소통으로 공공급식 활성화와 지역 먹거리 계획 실행력 제고에 올려 플랫폼을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환경데일리 = 문종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