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핵에 거래 필요 없다, 대통령 공약 이행 시민 촉구
20일 10시 권고안 발표 앞두고 탈핵반대시민단체 집회
[환경데일리 한영익 기자]"누군가는 살고 누군가는 죽이려고 만드는 핵발전소, 이제 멈춰야 한다! 문재인 정부는 공약대로 신고리 5,6호기 백지화하라!"
지난 주말내내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가 471명 시민참여단의 집중 토론을 걸친 후 최종 투표를 마쳤다.
10월 20일 10시 권고안 발표를 앞두고 그동안 탈핵반대를 해온 시민단체 회원들이 모였다.
16일 오후 2시 광화문 동화면세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문재인 정부는 공약대로 신고리 5,6호기 백지화하라'고 촉구했다.
이 자리에는 밀양 할매할배들의 탈탈원정대, 탈핵부산시민연대, 신고리5,6호기백지화 울산시민운동본부, 안전한 세상을 위한 신고리5,6호기 백지화 시민행동에 참여한 일반 시민들이다.
밀양 주민 구미현 어머니는 "올라오다가 차량 밧데리가 방전돼 차가 멈추는 바람에 기자회견 시간이 늦춰졌다. 이렇게 차는 밧데리가 방전되면 멈추면 그만인데 핵발전소는 전기가 몇 분만 안 들어와도 터진다는 그런 위험한 것임을 다시한번 느꼈다."고 말했다.
또 "우리 밀양은 신고리에서 오는 전기로 인해서 많은 고통을 받았다. 지금 밀양으로 지나는 신고리 1,2,3호기 앞으로 4호기 또 5,6호기가 지나가면 밀양주민들은 그야말로 전기고문을 당하는 거다. 그래서 우리는 신고리 5,6호기 중단을 절실하게 원한다."고 거듭 반대입장을 말했다.
이어 "지역주민들을 고통으로 몰아넣는 핵발전을 해야 할 의미가 아무도 없지 않는가? 단지 핵산업계의 이익을 위해 핵발전소를 계속 짓는게 안타깝다."면서 송전탑 때문에 10년을 넘게 고통받고 있는 지역주민들의 심정을 전했다.
울산시민운동본부 황혜주 대표는 "세계최대 신재생에너지단지에서 왔다고 말하고 싶다. 그러나 너무나 불행히도 세계 최대 울산핵발전단지에서 올라왔다."며 "울산시민들은 지금 공론화위원회에서 어떻게 결론이 날까 가슴이 쿵쾅거린다. 정부에서 언론에서 이렇게 위험하다고 솔직히 우리에게 정보를 알려주었다면 울산시민은 단 한 기의 핵발전소도 허용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했다.
황 대표는 "신고리 5,6호기가 지어진다고 하면 울산지역에 15기,16기가 된다."고 말하면서 "도대체 이게 말이 되는가? 그렇게 안전하다면 정말 서울에다 갖다 지으라고 하고 싶지만 도저히 그 말이 안 나올 만큼, 그동안 핵발전소가 얼마나 위험한지 너무도 잘 알게 됐기 때문"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이번 촛불혁명에서 정권을 바꾸려고 울산시민들도 노력했는데 그것은 우선적으로 탈핵을 위해서였다."면서 "울산,부산, 경남, 밀양 주민들은 절절히 원한다. 핵발전소 다 문닫아야 한다. 이번 선거에서 탈핵을 공약으로 내걸었던 문재인 정부는 반드시 반드시 공약을 이행해야 하며 신고리 5.6호기 백지화다."라면서 울산시민들의 의견을 전했다.
부산시민행동 최진경씨는 "핵발전소의 위험을 느낀 것은 작년 부산 지진 때문이었다. 부산에 지진이 일어났을 때 주변에서 오히려 핵발전소 괜찮냐는 질문을 많이 받았다."면서 "두 번째 강도 높은 지진이 왔을 때 경기권에 있는 딸 아이에게 문자를 보내며 아, 이러다가 죽겠구나 집안에 있으면 지진으로 죽고 나가면 핵발전소 때문에 죽겠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천재지변은 못 막는다 하더라도 인재만큼은 막아야 하지 않겠는가?"라고 물었다.
그는 "핵발전소가 누군가는 살고 누군가는 죽이려고 만드는 것이라면 이제 더 이상 그것은 안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누군가의 배를 불리는 것 같고 누군가만 편한 것 같다. 누군가는 언제 죽을지 모르는 불안감 놓여 있는데 그걸 누가 판단해야 되는 것인가?"라며 지역주민들의 목소리가 충분히 반영되지 못한 공론화과정에 아쉬움을 표했다.
한편 서울원정대와 시민행동은 공론화위원회 최종발표일인 20일까지 공론화위원회앞 선전전,백지화염원 릴레이 퍼포먼스, 1인시위 등을 진행하며 매일저녁 7시, 청계광장 소라탑 옆 서울 파이낸스센터 앞에서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촛불집회를 개최한다.
시민참여단은 서울과 경기 지역에 배정된 인원이 과반에 이르는 47.4%에 달하지만, 정작 신고리 5,6호기가 위치한 울산 지역 참가단은 전체의 1.4%, 7명에 불과하다. 부산은 부산시장과 많은 시민들이 건설중단을 요구하고 있지만, 공론화위원회는 집단적으로 건설재개 주장단체가 없다는 이유로 인터뷰 자체를 하지 않았다. 신고리 5,6호기 반경 30km 이내에 382만 명 중 부산주민 250만 명이 해당됨에도 공론화과정에 이해당사자의 목소리가 전달되지 않았다.
사실상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신고리 5,6호기의 운명을 결정하는 것. 정작 생애의 대부분의 시간인 60년 동안 신고리 5,6호기와 함께 살아야 할 수도 있는 청소년들은 아예 시민참여단에서 배제됐다.
안전한 세상을 위한 신고리5,6호기 백지화 시민행동측은 문재인 정부는 좌고우면할 필요가 없다. 3개월 동안 진실은 드러났다. 공약대로 백지화로 결정하면 되는 일이라고 한 목소리를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