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손명수 제2차관 면담, 지역현황 현안사업 설명
'목포역 철도시설 재배치 및 기능개선'위한 용역 착수
복합역사 건립 가닥 가능성과 원도심주민 이전 반대
[환경데일리 김정현 호남취재본부 기자]목포역을 옮길 것인지, 아니면 그 자리에 존치할 지를 놓고 시와 정부의 의견이 나오고 있다.
최근 김종식 목포시장이 국토부 손명수 제2차관을 면담한 자리에서 지역 현황과 현안사업의 당위성을 설명하고, 정부계획 반영 및 국비 지원을 요청했다.
김 시장이 국비 지원을 요청한 현안사업은 ▲목포역 철도시설 재배치 및 기능개선 ▲국도1호선 기점 연장 등이다.
목포역이 기능이 제구실을 못하고 있어서다.
목포역은 1979년 7월 신축·완공한데 이어 2004년 4월 KTX 운행으로 증축돼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
노후화되고, 비좁아 이용객 불편을 구조적으로 안고 있다. 또한 KTX 수요에 비해 운행횟수가 적어 열차표를 구하기 어렵다는 민원도 많다. 역사내는 1층뿐으로 승객들이 대기장소도 부족하고, 편의시설조차 간이역 수준에 머물어, 외지 관광객들이 불편함이 극에 달하고 있다.
▲김종식 목포시장(좌측 가운데)이 손명수 국토교통부 제2차관(우측 가운데)과 함께 목포역을 새로운 랜드마크로 개발 당위성을 설명하고 있다. |
특히 목포시는 해상케이블카, 맛의 도시 브랜드화 등 관광인프라가 확충되면서 관광객이 대폭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 4대 관광거점도시 선정, 국제행사 유치로 앞으로도 관광객 증가요인이 매우 큰 상황이다.
이에 따라 호남선의 출발역인 목포역 이용객도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목포역으로는 변화에 대응하는데 역부족인 상황이다. 게다가 목포역을 시·종착역으로 하는 인천·수원, 부산발 KTX 등 다수의 철도건설사업도 준공이 예정돼 추가 수요에 대한 대비도 시급한 과제이다.
현재 목포역의 시설 배치로는 고속열차 선로 증설 등을 통한 KTX 증편은 불가능한 실정이다.
목포시는 이런 불편과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지난 19일 '목포역 철도시설 재배치 및 기능개선'을 위한 용역에 착수했다.
목포역 철도시설 재배치와 기능개선을 통해 KTX를 확충하고, 역사 현대화와 유휴부지를 활용해 공원, 광장, 주차장 등 편의시설을 조성하겠다는게 시의 구상이다.
김 시장은 이런 사정과 구상을 손 차관에 상세히 설명하고, 정부사업에 반영·추진을 건의했다. 이와 함께, 2013년 지정된 목포시 관내 국도1호선의 기점을 연장하고 지정국도로 지정해 국가에서 관리해줄 것을 요청했다.
국도1호선은 목포IC에서 목포대교 시점(신항교차로)까지 12.8㎞만 지정돼 있다. 국가항만인 목포신항은 동일 구역임에도 관리주체가 목포시와 국도유지관리사무소로 이원화돼 있다.
시는 서해안고속도로와 목포신항, 대불국가산단을 잇는 국도1호선이 국가산업 물류도로로 이용되고 있으므로 목포신항 경계까지 14.1㎞로 기점을 연장해 지정국도로 일괄 관리하고, 국가에서 유지관리 비용을 부담해 줄 것을 요청했다.
김종식 시장은 "목포역사 신축 등 숙원이었던 지역현안 해결을 위해 관련부처 및 김원이 국회의원과 적극적으로 협력해 끈질긴 시도와 노력을 통해 원하는 결과를 꼭 이뤄내겠다."고 밝혔다.
목포YMCA 관계자는 "목포의 원도심이 날로 낙후되고 관광객이 줄어드는 복합적인 원인도 있지만, 최소한 목포역만큼은 주변 인프라와 함께 복합기능이 있는 역사를 신축해야 관광객과 시민들의 불편도 줄일 수 있고 경쟁력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목포신안 지역구인 김원이 의원은 "목포역은 목포의 얼굴이자. 미래의 출발점이며 문화가 있다."라며 "목포역도 관광상품중 하나다. 특히 원도심 균형발전으로 목포역은 존치해 중고층 이상으로 올려 새로운 목포시 랜드마크로 자리잡거나, 새로운 대안이 나오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