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과 MICE산업, 혁신 정책 방안 모색
고양특례시의회 환경경제위는 지난달 23일부터 30일까지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로 공무 국외연수를 추진했다.
모두 7명의 의원들은 시민을 위한 환경 정책 개발과 MICE혁신 정책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라고 밝혔다.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는 다문화국가로 정부의 전략적 지원 아래 MICE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는 대표적인 나라다.
말레이시아의 쿠알라룸푸르와 싱가포르는 제한된 지리적 조건에도 불구하고 무역, 금융, 관광산업을 전략적으로 연계 고도의 경제 성장을 이뤘다.
아시아지역의 MICE 허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번 공무연수단에는 이해림 환경경제위원장을 중심으로, 문재호, 신인선 의원 등 7명이 참석했다.
이번 연수단은 쿠알라룸푸르 컨벤션 센터(KLCC)와 행정도시 푸트라자야 시청, 싱가포르의 선택 컨벤션 센터(SUNTEC), 환경위원회(Singapore Environment Coucil) 등을 방문했다.
현지에서 시행 중인 환경 및 MICE 관련 정책을 교환하며, 벤치마킹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쿠알라룸푸르 컨벤션 센터(KLCC)와 선택 컨벤션 센터(SUNTEC)는 환경친화적 건축 및 운영 방식을 적용해 지속 가능한 MICE 인프라의 표본이 되고 있다.
연수단은 이러한 성공적인 사례를 직접 경험하며 각 시설의 환경 관리 방식, 자원 순환 시스템, 에너지 효율화 방안 등에 대해 현지 담당자들과 함께 토론의 장을 마련했다.
말레이시아의 행정 도시 푸트라자야 시청은 도시 환경을 고려한 행정 정책과 계획을 집중적으로 분석했다.
도시 내 공공시설과 녹지 조성을 통해 지속 가능하고 쾌적한 도시 환경 조성하는 방안을 모색했다.
이어진 싱가포르 환경위는 지역사회와 기업의 협력을 통한 환경 보호와 탄소 배출 감축 프로그램 분석을 통해, 시민과 기업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정책이 고양시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했다.
이해림 환경경제위원장은 "이번 연수가 고양시의 친환경 정책과 MICE산업 혁신을 위한 큰 자양분이 될 것"이라며 "양국에서 배울 수 있는 다양한 정책과 성공 사례를 통해 많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특히 환경 정책과 관련해 각국이 기후 변화 대응과 자원 관리, 에너지 절감 등에서 실질적 성과를 살폈다.
이 위원장은 "MICE 산업의 전략적 육성 방안을 직접 확인함으로써 지속 가능하고 경제적 파급 효과를 불러올 수 있는 MICE 정책을 도입할 필요성을 다시금 느꼈다."고 설명했다.
또한 "탄소중립 목표를 접목시켜 고양특례시가 친환경 도시이자 MICE 중심 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의회 차원에서도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환경데일리 = 고용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