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의원, 경기도 '검토하겠다'답변 받았다 밝혀
▲최춘식 의원 |
[환경데일리 고용철 기자]경기도 북부 접경지역은 고령화 문제와 더불어 의료취약 사각지대로 방치돼 왔다. 이런 지역조건은 아이출산이 줄어들고 동시에 인구소멸과 초고령사회를 재촉하는 악재가 되고 있다.
실제로 인천 옹진군, 경기도 파주시, 양주시, 연천군, 포천군, 가평군, 강원도 철원군, 고성군, 양구군, 화천군 등 접경지역은 수익성 문제 등으로 종합병원급이 전무하다.
최춘식 의원은 공공의료 복지증진을 위해서는 접경지역을 의료시스템화하는 정부 보건복지정책의 로드맵이 꾸려져야 한다고 입장이다.
국회농해수위 소속 최춘식 의원(경기 포천시·가평군)이 '경기도의료원 산하 가평병원'과 '분원 차원의 경기북부의료원' 설립을 요구하자, 경기도 측이 '검토하겠다'는 답변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가평군의 노인인구 비율은 26.5%로 도내에서 연천군(26.7%) 다음으로 상주 비율이 높다. 가평군만 하더라도 경기도 평균(13.4%)보다 2배 가량 높다. 기초생활보장 대상자 비율이 8.07%로 도내 평균(2.87%)보다 약 3배 높다.
또 중증장애인 비율(2.31%) 역시 경기도 평균(1.12%)보다 2배 가량 높은 등 공공의료적인 수요가 굉장히 큰 상황이다. 게다가 관내 종합병원급의 의료기관과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분만) 등은 전무한 상황으로, '수도권 최고의 관광지'에 부합하지 않은 열악한 의료인프라에 놓여 있다.
최춘식 의원은 경기도 측에 '경기도 조례 개정을 통한 경기도의료원 산하 가평병원의 신설'과 '현행 지방의료원법에 따른 분원 차원의 경기북부의료원 설립'을 적극 요구했다.
경기도는 "경기 동북부 의료체계 개선위원회 등을 통해 의료원 설립 타당성을 검토하고, 타당성 확보시 부지 선정 등 후속 절차를 이행할 예정"이라고 답변했다.
최 의원은 지자체가 공공보건의료 시책을 수행하기 위해 '지방의료원의 분원 또는 산하 병원 설립'을 요구할 경우, '설립과 시설 및 장비 확충 등 공공보건의료사업에 드는 경비'를 의무적으로 지원하도록 하는 '지방의료원 설립 및 운영 법률 개정안'의 제출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최춘식 의원은 "가평군민과 경기북부지역이 원활한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