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시대로 내모는 의료취약지 방치

김정현 호남취재본부 / 2023-09-14 09:30:47
'닥터헬기' 탄 임신부 최근 5년간 9명
2019~23년 상반기 전남 · 인천 · 강원
의료 취약지 산모 9명 닥터헬기 이용
이중 5명 전남 섬지역 거주 크게 불편
2020년 닥터헬기 안서 출산 사례도
김원이 의원 "분만인프라 지원해야"

[환경데일리 김정현 호남취재본부 기자]'하늘 위 응급실'로 불리는 닥터헬기를 이용한 임신부가 최근 5년간 9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전남의 도서 섬지역에 거주하는 산모가 5명으로 절반이상을 차지했다 . 닥터헬기 이송 중 기내에서 출산한 산모도 있었다.


국회보건복지위 소속 김원이 의원(목포시)이 보건복지부와 인천광역시 · 전남도 · 강원도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근거로 현실과 문제 개선할 점을 밝혔다.


이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올 6월까지 닥터헬기를 이용한 임신부는 총 9명으로 집계됐다. 이들은 집근처에 분만할 수 있는 산부인과가 없는 농어촌 및 섬지역 거주자로 갑작스런 산통 등으로 응급분만이 필요하거나, 교통사고로 인한 부상, 복부 통증 등을 느껴 응급처치가 필요한 상태였다.

산모 본인과 보호자가 임신사실을 모르고 있다가 응급 제왕절개 수술을 위해 닥터헬기를 탄 사례도 있었다.

2020년 3월, 전남 완도군 노화도에 거주하는 한 산모가 집에서 산통을 느끼고 닥터헬기로 긴급이송 되던 중 기내에서 자녀를 출산한 사례도 있었다.


닥터헬기가 임신부를 태우고 이송한 평균 거리는 95km였다. 가장 긴 이송거리는 백령도에 위치한 인천의료원 백령병원에서 인천 길병원까지 무려 306km를 이동한 경우다. 이들 임신부는 대부분 '분만취약지'에 거주하거나 이송 당시 취약지에 머물렀다.

전남 완도 · 신안군, 인천 옹진군(백령도), 강원 평창군 등은 복지부 지정 A등급 분만취약지로 분류된다. A등급 분만취약지란 60분내 분만의료이용율이 30% 미만이면서, 60분내 분만 가능한 의료기관에 접근이 불가능한 인구비율 30% 이상인 지역이다.

▲김원이 의원

복지부는 이들 지역에 산부인과 장비, 운영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 이같은 지원에도 불구하고 인구소멸 위기에 처한 지방의 분만인프라는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김원이 의원은 "정부는 2011년부터 분만취약지 지원사업을 하고 있으나, 농어촌과 섬지역 등 의료취약지 분만인프라는 여전히 열악한 상황"이라고 지적하고 "저출생 극복과 의료격차 해결을 위해서는 특히 취약지의 의료인력과 분만 · 신생아 진료 인프라를 대폭 지원해야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저출산시대로 접어들면서 의료취약지를 방치하는 정책은 곧 인구절벽으로 내모는 꼴로 신속한 중장기적인 대안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덧붙었다.

[저작권자ⓒ 환경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정현 호남취재본부

김정현 호남취재본부

뉴스댓글 >

SNS